-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대전시립박물관은 2023년 세 번째‘박물관 속 작은 전시’로 소장 중인 ‘재봉틀’을 선정해 전시한다.
‘박물관 속 작은 전시’는 대전시립박물관 상설전시실 내부에 있는 전시로 주요 기념일 행사와 관련된 유물 혹은 새롭게 기증·기탁받은 신수유물을 소개하는 전시회이다.
이번에 전시되는 재봉틀은 재봉틀 전성기인 1920년부터 1960년대 국내·외에서 생산된 싱거 테이블 재봉틀 드레스 테이블 재봉틀 아이디알 재봉틀 등이다.
‘싱거 테이블 재봉틀’은 1923년 제작된 재봉틀이다.
하단의 페달을 밟아 동력을 얻어 사용하는 방식이다.
상판 안 재봉틀을 보관하고 사용 시 뚜껑을 열어 재봉틀을 꺼내 고정해 사용한다.
재봉틀은 스핑크스와 기하학적 문양으로 장식됐다.
20세기 초반 생산된 테이블 형태의 재봉틀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드레스 테이블 재봉틀’은 여닫이 가구 형태의 재봉틀이다.
가구 전체에 붉은색을 칠했고 자개로 무궁화, 봉황, 구름 등 문양과 壽, 福 등 우리나라 전통 문양을 새겼다.
여닫이문을 열면 발판과 수납공간이 나타난다.
전통적 형태와 문양의 가구에 재봉틀을 설치한 고급형 재봉틀이다.
‘아이디알 재봉틀’은 국내에서 최초 재봉틀을 생산·수출한‘신한미싱제조’에서 제작됐다.
근래까지 사용되었는데 정교한 국내 재봉틀 제작기술을 보여준다.
전시회는 7월 25일까지로 대전시립박물관 상설전시실에서 진행되며 재봉틀의 형태와 발전 그리고 근현대사에서 차지하는 역할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현대에는 집에서 직접 옷을 만들어 입지 않지만 수십 년 전만 하더라도 옷의 제작과 수선은 집에서 하는 일이었다.
한 땀 한 땀 직접 손바느질로 옷을 만드는 일은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바느질에 할애할 수밖에 없었다.
산업혁명 이후 방직기, 방적기 등의 발명으로 옷감을 만드는 공정은 기계화됐지만, 바느질은 선사시대와 바늘의 재질만 바뀌었을 뿐 여전히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더 편하고 빠른 바느질을 위한 기계를 발명하기 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 재봉틀이 탄생하게 됐다.
수천 년 동안 변함없던 바느질 역사를 뛰어넘는 혁명이었다.
재봉틀은 곧 전 세계로 보급됐다.
우리나라에는 1890년대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896년 이화학당의 교과목으로 재봉과 자수가 등장한다.
1905년에는 미국의 싱거 재봉틀 회사가 한국에 지점을 설치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에도 많은 수가 보급됐다을 알 수 있다.
이후 국내에선 1957년‘아이디알 미싱’이 재봉틀 생산을 처음 시작했고 60년대 라이온, 파고다, 부라더, 드레스 등 브랜드가 생겨나면서 신제품을 앞다투어 내놓았다.
70년대에는 재봉틀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가정에 많이 보급됐다.
재봉틀은 각 가정의 필수품이었다.
가난했던 시절 한 푼 아끼고자 재봉틀로 옷을 직접 만들어 입고 낡은 옷을 수선해 입었다.
오래된 이불도 기워 덮었고 재봉틀로 옷을 만들어 생계를 유지하기도 했다.
대전시립박물관 관계자는“이번 전시를 통해 지금은 보기 힘든 재봉틀을 보고 그 시대에 살았던 분들은 옛 향수 느낄 수 있다. 재봉틀의 발전과 역사적 의미를 알아보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