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운곡3.1만세운동유족회가 3일 운곡면사무소 기념비와 신대1리 기적비 앞에서 충남에서 가장 많은 독립유공자를 배출한 청양군 최초의 독립만세운동인 운곡3.1만세운동 기념 제향을 거행했다.
이날 제향은 유가족, 기관단체장, 운곡초 학생, 주민 등 150여명이 참석했으며 초헌관과 아헌관 그리고 종헌관은 각각 김돈곤 청양군수, 김종헌 충남서부보훈지청보훈과장, 윤주섭 유족회장이 맡았다.
청양군의회 김기준 의장 등 많은 내빈도 참석해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선열들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렸다.
청양 지역 최초로 3.1만세운동의 조짐이 보였던 곳은 1919년 4월 3일 운곡면 미량리다.
그러나 일제에 의해 사전에 발각돼 탄압을 받기 시작했다.
이에 4월 6일 운곡면 6개 마을 600여명의 주민들은 산악지역에 위치해 횃불 시위가 다른 지역보다 용이한 마을 뒤편 국사봉에서 독립만세 시위를 펼쳤다.
이때 일제에 의해 95명이 체포돼 태형에 처해지는 등 모진 고초를 겪었다.
운곡3.1만세운동유족회는 일제의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민족의 자주독립을 외쳤던 자랑스러운 순국선열들의 애국정신을 올바르게 계승하고 운곡면민의 자긍심을 고취해 나가고자 매년 추모제향을 올리고 있다.
윤주섭 유족회장은 “청양군 최초의 독립만세운동이라는 역사적 가치와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후대에 전해 애국심을 드높여 나가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돈곤 군수는 “1919년 3월 탑골 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것으로 시작된 독립만세운동이 청양군 운곡면에서 불타오른 것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충남지역 독립유공자 최다배출지인 청양군이 호국선열의 높은 뜻을 우리 모두 기억하고 계승 발전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청양군은 273명의 독립유공자가 서훈을 받아 충남도내 가장 많은 독립유공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해 충남역사문화연구원과 진행한 ‘청양 독립운동 및 독립운동가’ 연구용역을 통해 397명의 미서훈 독립운동가를 추가 발굴하는 등 지역의 항일 정신을 기리는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