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학생의 글로벌 역량 높인다

경기도교육청, 교육 섹터별 국제교류협력 활성화 추진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경기도 학생의 글로벌 역량 높인다



[PEDIEN] 경기도교육청이 2025년 국제교류 정책 비전으로 ‘경기미래교육을 세계로 세계인을 경기로’를 제시하고 교육 섹터별 국제교류협력 활성화 추진으로 학생의 글로벌 역량 신장에 적극 힘쓴다.

임태희 교육감은 ‘2024 유네스코 국제포럼’과 올해 미국 하버드대 특강 등을 펼치면서 “무엇이든 우리 안에서만 있으면 발전이 지연되고 우리 스스로 머물게 된다.

끊임없이 다른 곳과 새로움이 무엇이 있는지 계속 교류하고 서로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며 교육구성원의 국제 역량 강화 노력과 국제교류협력의 필요성을 꾸준히 강조해 왔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언어로 소통하고 실천으로 협력하는 세계인, 배움으로 가치를 창출하고 미래를 열어가는 세계인 양성’을 위해 정책부서 내 국제협력 담당팀을 신설하고 국제교류 정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제교류협력을 위한 주요 실천 과제로는 △교육 섹터별 국제교류협력 활성화 △국제 교육개발지원 확대 △국제교류협력 센터 기반 마련 △해외 교류협력 기관 확대 △교직원 글로벌 역량 강화 등을 선정해 추진하고 있다.

먼저 교육1섹터인 ‘학교’의 국제교류 확대를 위해 6교의 국제교류 연구학교를 지정, 학교교육과정과 연계한 국제교류 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하고 국제교류협력 활동을 지원한다.

교육2섹터인 ‘경기공유학교’ 참여 학생이 국제적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교육지원청의 역할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국제교류협력 중심 교육지원청’을 지정하고 학교와 공유학교를 중심으로 지역 여건과 상황에 맞는 학생 대상 국제교류협력을 확대한다.

중심 교육지원청 사업에는 도내 25개 교육지원청이 모두 공모해 선정됐다.

도교육청은 교육지원청별 상황과 여건에 따라 △도전형과 △확장형으로 구분해 세부 사업을 추진토록 할 계획이다.

교육3섹터 ‘경기온라인학교’에서는 ‘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세계화한다.

이로부터 우리나라의 말과 글, 문화를 배우고자 하는 해외 모든 학생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 교육을 통한 국제적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힘쓸 방침이다.

도교육청과 함께 학생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지원청 역할 확대에도 힘쓴다.

올해 도교육청 국제교류협력 중심 교육지원청으로 선정된 경기도성남교육지원청은 △성남의 우수한 국제교류 네트워크를 주변 교육지원청과 연결 △인근 지역 교원 대상 국제교류 기본-심화-전문가 과정 추진 △인근 지역 학생에게 ‘글로벌 프렌즈 공유학교’ 경험 제공에 앞장선다.

특히 경기도성남교육지원청은 2025학년도 특색과제를 ‘글로벌 프렌즈 국제교류 활성화’로 설정하고 국제기관 및 단체그레이트지오그래픽 소사이어티)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밖에도 태국 마하사라캄 대학교,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케이티 사회공헌팀 등과도 긴밀한 국제교류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우선 제1섹터인 학교를 지원하기 위해 △경인교대 국제교류 멘토를 연결한 1교 1국제동아리 구축 △성남-해외학교 연결을 통한 온오프라인 국제 공동수업 운영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열리는 ‘2025 세계 환경의 날’ 참여 △‘경기글로벌스쿨 국제포럼’ 참여 등 공공외교 활동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교육구성원의 국제교류 역량 강화를 위해 교원 및 학부모 연수를 연속 진행한다.

학생이 속한 학교가 국제교류 미운영교이거나 학교에 국제교류 동아리가 없어도 성남지역 제2섹터인 ‘글로벌 프렌즈 공유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제3섹터를 활용한 배움을 깊이 있게 확장할 수 있도록 미국 온라인학교와 관내 학교를 연결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도교육청은 이와 같은 국제교류협력 활성화 데이터를 누적해 각 기관이 자료를 한눈에 찾을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에도 힘쓸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제교류협력 성과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기관별로 교류협력을 심화 운영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도교육청과 경기도교육청국제교육원 간에 유기적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국제교육원 누리집을 활용해 학교와 학생의 국제교류협력 현황을 데이터로 관리한다.

국제교육원은 해외 교육기관을 적극 발굴해 도내 학교와 교류 활동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서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정치일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