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유학생 ↔ 외국인주민 연계 ‘윈 – 윈’ 통번역 지원 시범사업 시행

유학생 시간제 취업허가 제도 활용해 통번역 등 외국인 주민 정착 지원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충청북도청전경(사진=충청북도청)



[PEDIEN] 충북도가 외국인유학생의 시간제 취업허가 제도를 활용해 외국인주민의 언어 장벽 해소를 통한 지역사회 정착 지원에 본격 나선다.

충북도는 4월부터 외국인 주민 지원기관을 통해 외국인유학생 통번역 지원사업을 시범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도내 외국인 주민의 지속적인 증가로 일상생활 속에서 언어로 인한 불편과 제약을 겪는 상황이 많아짐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실제로 도내 체류 외국인 수는 2014년 36,206명에서 2024년 72,719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동시에 외국인 유학생 수도 빠르게 증가해 금년도 4월 기준 1만명을 넘어섰다.

도는 이 가운데 일정 수준의 한국어 능력을 갖춘 유학생을 모집해 외국인 주민의 정착을 돕는 데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해당 사업은 단순한 자원봉사를 넘어서 외국인 유학생의 시간제 취업 허가 제도를 활용, 체계적인 참여와 정당한 보상 체계를 마련해 시행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참여 대상은 도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유학생 중 TOPIK 4급 이상, 사회통합프로그램 4단계 이상 이수 등 한국어 능력을 갖춘 자로 이들은 통번역상담 보조, 문서작성, 일반 사무보조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유학생에게는 최저시급 수당 및 출퇴근 거리에 따른 교통비가 지급된다.

충북도는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충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에서 총괄 운영을 맡고 외국인 유학생 모집과 관리를 위해 별도의 수행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다.

수행기관 전담인력에게도 매월 수당이 지원되어 행정의 연속성과 사업의 전문성을 동시에 확보할 방침이다.

도는 본 사업을 추진할 수행기관을 오는 4월 24일까지 모집한다.

관련 내용은 충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선정된 기관은 5월 중 외국인 유학생을 모집한 뒤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외국인 유학생은 시간제 취업 허가를 받은 후 6월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현재 외국인 유학생은 통역·번역 보조, 일반 사무보조, 조리사 보조, 관광 안내 보조, 면세점 판매 보조 등 전문 분야의 보조적인 활동으로서 시간제 취업 활동이 가능하다.

박선희 도 외국인정책추진단장은 “이번 사업은 단순한 통번역 서비스 제공을 넘어서 외국인 주민에게는 실질적인 정착 기반을 제공하고 외국인 유학생에게는 지역사회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 상생 모델”이라며 “금년도 시범 사업을 통해 성과를 분석한 뒤 내년부터 본격 확대해 나갈 계획으로 앞으로도 외국인 주민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지자체의회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