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제주특별자치도가 5월부터 10월까지를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인공지능 기술 도입과 민관협력 강화 등 한 단계 진화된 재난대응 체계를 가동한다.
제주도는 25일 오전 오영훈 도지사 주재로 ‘2025년 여름철 자연재난 사전대비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기후변화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재난대응 체계를 발표했다.
이번 회의에는 도와 행정시, 유관기관, 민간전문가들이 참석해 여름철 자연재난 종합대책과 기관 간 협업체계, 현장 대응역량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대책의 핵심 대응체계는 ‘민관협력 강화’ 와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구축이다.
우선 기존 여름철 자연재난 전담반을 확대 개편한다.
자율방재단, 의용소방대, ㈔제주올레,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대한적십자사 제주지사 등 5개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온라인 소통창구로 ‘2025년 여름철 재난대응 혼디방’을 신설, 실시간 정보 공유와 공동대응이 가능한 협업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7월부터는 인공지능 기반 아바타 수어 영상 서비스를 도입하고 ‘제주재난문자’ 시스템을 통해 기상특보와 재난대응 행동요령을 통합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독거노인 등 재난취약계층의 정보 접근성을 대폭 개선할 예정이다.
아울러 행정시 재난안전상황실 책임자를 국장급으로 상향 조정해 현장 대응의 신속성과 책임성을 강화한다.
반지하 주택과 산사태 우려지역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해 위험지역 종합정보체계를 구축하고 지역별 책임 담당자를 지정해 지역별로 체계적인 관리에 나선다.
이와 함께 제주도는 5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를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인명피해 예방 △시설물 안전관리 △신속 대응체계 구축 △도민 안전교육 강화 등 종합대책도 본격 추진한다.
여름철 대책기간 : 5.15.~10.15. / 여름철 사전대비 기간 : 3.14.~5.14. 자연재해위험지구와 해안가 저지대 등 재해취약지역의 정밀 점검을 강화하고 배수펌프장과 하천 등 방재시설 정비를 철저히 하는 한편 장애인과 독거노인을 위한 맞춤형 대피지원 체계도 마련한다.
아울러 도민 재난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읍면동별 주민 교육과 함께, 시간당 강우량 100㎜ 이상의 극한호우를 가정한 하천사업장 범람, 지하차도 침수 등 실제 상황 중심의 현장훈련을 실시한다.
하천사업장 범람, 공항지하차도 침수, 해안지역 월파 등 오영훈 지사는 “자연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수”며 “기후위기 시대, 행정과 도민이 함께하는 선제적 대응으로 도민의 안전을 확실히 지켜내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