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하남시가 ‘기회를 준비한 도시만이 미래를 이끈다’는 신념 아래, 인공지능 전환시대의 공간 전략 수립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AI 기술이 미래산업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단순한 기술 수용을 넘어 도시의 구조와 행정 전반을 새롭게 설계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하남시는 ‘AI 산업 육성과 인프라 구축’을 중심으로 선제적 전략 마련과 행정체계 내재화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시는 7일 도시계획 및 국토도시관리 분야의 전문가인 단국대학교 김현수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를 초빙해 전 직원을 대상으로 ‘AI 전환시대, 혁신 직주락학 플랫폼 조성전략’을 주제로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교육은 AI 기술의 확산이 도시공간에 가져올 구조적 변화를 짚고 이에 대응하는 행정의 전략적 역할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도시계획, 교통, 환경, 문화, 자족기능 등 시정 전반에 걸쳐 ‘직주락학’ 융합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도구와 실행 사례가 제시되며 실무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김 교수는 △직주락 혁신거점 조성을 위한 복합화·입체화 전략 △교산신도시 등 개발지에 AI 클러스터 유치 등을 위한 기반 확보 △공간계획의 유연성을 높이는 ‘도시혁신구역’ 제도 소개 △미래도시 경쟁력의 핵심인 AI 기반 고급인력 생태계 조성 등을 중심으로 한 도시 구조 혁신의 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교산신도시에서 추진 중인 ‘AI 혁신클러스터’는 대표 사례로 소개됐다.
글로벌 R&D센터, 슈퍼컴센터, AI+X 트레이닝센터 등이 집약된 미래형 도시 플랫폼으로 약 3,000명의 석·박사급 인재가 상주할 계획이다.
김 교수는 해당 클러스터가 하남시의 자족기능 강화를 이끌 핵심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일본 도쿄의 ‘도라노몬 힐스’, 서울의 ‘제3판교밸리’ 등 국내외 혁신지구 사례도 공유됐다.
김 교수는 저이용지와 기반시설 부지를 활용한 입체 복합화 개발을 통해 토지 효율성과 환경갈등을 동시에 해결하고 도시의 공공성과 경제성을 함께 만족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하남시가 역점 추진 중인 K-스타월드 조성사업, 교산신도시 자족기능 확충, 캠프콜번 도시개발 등의 현안과 맞물려, AI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 도출에 집중하며 교육의 실효성을 더욱 높였다.
시는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공직자들의 정책 기획 역량을 높이고 나아가 ‘하남형 AI 행정’ 체계 마련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이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도시경쟁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이현재 시장은 “AI는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에도 도시 간 격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며 “하남시는 공간 전략과 인프라 확보, 정책 기획 전반에 걸쳐 AI 기반 행정체계를 정착시키고 미래를 주도하는 도시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