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서관 관장 부재 사태, 파행의 책임은 어디에?

민간위탁 추진하던 경기도, 의회·유관단체 반발에 직영운영 방침으로 전환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경기도서관 관장 부재 사태, 파행의 책임은 어디에?



[PEDIEN] 6월27일 폐회한 경기도의회 제384회 정례회에서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의 반대로 경기도서관장이 포함된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이 무산되면서 경기도서관을 이끌 경기도서관장 인사절차가 개시도 못 하는 상황에 빠진 가운데, 유호준 의원이 7월 9일 오후 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소회의실에서 경기도 박민경 도서관정책과장을 만나 "1,233억원이 투입된 경기도서관의 관장이 사실상 ‘바지관장’ 으로 전락할까 우려하는 목소리들이 크다"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전한 뒤, "유관단체와의 적극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지금의 어려움을 극복해나가길 바란다"라며 민관협력을 통한 위기극복을 당부했다.

경기도는 지역도서관 지원 등 정책 기능만 담당하고 도서관 시설관리, 특화 프로그램 기획·운영, 도서관 서비스 제공 등 도서관 운영 전반을 민간위탁 업체에게 맡기고자 했으나, 경기도 사서협의회가 ‘광역대표도서관을 민간에 위탁한 사례가 없으며 민간에 운영을 맡길 경우 공공성이 퇴색하고 정책 기능도 이원화될 수 있다는 이유로 민간위탁에 반대하고 나섰고 한국도서관협회 등 관련 단체가 일제히 반대 성명을 낸 데 이어 경기도민 청원을 통해 집단행동에 나서자, 김동연 지사가 이를 수용해 민간 위탁 방침을 철회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경기도는 민간이 가진 전문성과 현장경험을 두루 갖춘 인물을 도서관장으로 임명하기 위해 경기도서관담당관을 신설하고 이를 개방직으로 공개모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이번에 조직개편을 통해 관련 절차에 나서고자 했는데,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이 이에 제동을 건 것이다.

공모과정에 약 한달이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7월에 조직개편안이 통과된다 하더라도, 8월말에야 뽑힐 도서관장은 이미 결정되고 준비된 도서관 운영만 하는 '관리형'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에 따르면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은 국민의힘 의원들이 조직개편에 대한 사전 설명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이를 저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4월 회기에서도 조직개편안이 무산됐고 이미 각종 언론 및 공유된 의안 자료를 통해 조직개편의 필요성이 널리 알려졌던 만큼, 이와 같은 반대 이유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일각에서는 소속 의원이 성희롱 등으로 도민의 질타를 받는 가운데 지난 6월 27일 치러진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의 대표의원 선거를 앞둔 국민의힘의 혼란이 드러난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실제로 도의회 소속 직원에게 성희롱 발언 등을 했다는 모욕 혐의로 피의자 신분으로 경찰 조사를 받은 국민의힘 소속 의원이 기획재정위원회에 소속된 의원이기에 이 같은 해석이 힘을 받고 있다.

경기도서관 관련 업무를 소관하고 있는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에 소속되어 있는 유호준 의원은 이번 경기도서관담당관이 포함된 조직개편안이 무산된 것에 대해 “이미 1,233억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됐고 곧 개관을 앞둔 경기도서관의 관장이 적기에 임명되지 못한 한 것은 이번 조직개편안을 무산시킨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이 그 책임을 져야 한다”며 이러한 상황에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이 책임져야 함을 강조하고 “사전 설명이 부족하다는 의회의 자존심 싸움에 공공도서관 309개, 작은 도서관 1,676개 등 약 2,000개 정도인 도 전체 도서관의 정책을 총괄할 경기도서관의 출범이 난항을 겪게 됐다”며 국민의힘의 발목잡기에 멈춰선 경기도서관의 현실에 안타까움을 표했다.

유호준 의원은 도서관정책과장과의 면담에서 "이번 조직개편안 무산으로 인해 경기도서관장 임명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 의원의 한 사람으로 도민께 죄송한 마음"이라며 경기도서관을 기대하고 있는 도민들에게 사과한 뒤, "이에 대한 대안을 경기도가 경기도서관을 위한 민관협업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민간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경기도서관에 접목할 방안을 찾아줄 것을 기대한다"라며 경기도 차원의 대안을 준비할 것을 주문했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