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집중호우 이후 폭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광양시가 뜨거운 태양을 피해 시원한 자연 속에서 ‘폭포-멍’을 즐길 수 있는 여름철 힐링 명소로 어치계곡을 추천했다.
어치’는 ‘느린재’ 또는 ‘느재’를 한자식으로 표기한 지명으로 산허리를 감아 돌며 완만하게 이어진 고갯길을 뜻한다.
백운산 4대 계곡 중 하나인 어치계곡은 2021년 ‘걷고 싶은 전남 숲길’로 지정된 백운산 등산로 6코스의 일부로 구시폭포와 오로대, 용소 등 신선이 노닐었을 법한 명승이 이어지며 수려한 자연 경관을 자아낸다.
특히 생태탐방로의 종점인 구시폭포는 심한 가뭄에도 물이 마르지 않는다는 전설을 증명이라도 하듯 우레와 같은 함성과 맹렬한 기세로 눈부신 포말을 끝없이 토해낸다.
때 묻지 않은 원시림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생태탐방로의 비경을 막 빠져나온 탐방객들은, 길게 깎아 놓은 가축의 먹이통 닮아 ‘구시’라 이름 붙은 이 폭포 앞에서 거침없이 쏟아지는 물줄기의 압도적인 풍경에 자신도 모르게 ‘폭포-멍’에 빠져든다.
구시폭포에서 임도를 따라 700m쯤 올라가면, 한여름 대낮에도 이슬이 맺힐 만큼 시원하다는 뜻을 가진 ‘오로대’라는 글씨가 새겨진 너른 바위가 마당처럼 펼쳐져 있다.
‘오로대’는 단오절과 한로절에서 각각 오와 로를 한 자씩 따온 이름으로 옛 선인들이 단오와 한로 두 절기에 이곳을 찾아 풍류를 즐겼다는 의미도 담고 있다.
오로대 바로 아래에는 수어천의 발원지인 용소가 있다.
한해, 즉 가뭄이 들 때 이곳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많은 비가 내렸다고 전해진다.
이현주 광양시 관광과장은 “어치계곡은 봄날의 수달래, 가을의 만추뿐 아니라 무더위를 식혀 줄 청량한 여름 힐링 명소로도 잘 알려져 있다”며 “소중한 사람들과 신비한 전설을 가득 품은 이곳을 찾아 심신을 달래고 회복하는 시간을 갖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