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박재용 경기도의회 의원은 경기 동북부 지역에 특화된 혁신형 공공병원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는 동북부 지역의 특성을 고려, 기존 공공의료원의 단순 진료 기능을 넘어선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박 의원은 경기도청에서 열린 ‘경기 동북부 공공병원 설립 타당성 및 민간투자 적격성 조사’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 참석, 이같이 밝혔다.
그는 동북부 지역의 중증·만성·응급 의료 수요 증가에 주목하며, 혁신적인 진료 역량과 응급 대응 체계를 갖춘 병원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의정부권과 남양주권 모두에서 응급의료 강화 요구가 높게 나타난 점을 언급하며, 심뇌혈관센터와 소아응급센터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는 도민들의 자연스러운 요구이며, 응급·중증 대응을 중심축으로 하는 혁신형 공공병원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고 평가했다.
또한 박 의원은 혁신형 공공병원이 경기도의료원, 국립중앙의료원, 권역응급센터 등과 긴밀히 연계된 책임의료기관으로서 기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뇌혈관, 외상, 소아응급 등 중증 분야에서 상급병원과의 체계적인 연동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지리적 특성상 이송 시간이 중요한 동북부 지역의 특성을 고려, 닥터헬기 확보와 병원 간 실시간 연계, 긴급 전원 시스템 등 응급 이송 플랫폼 구축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골든타임 확보 체계는 이번 공공병원 설립에서 핵심적인 기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의원은 공공병원은 비용 논리로만 접근할 수 없는 공공재임을 강조하며, 동북부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형 공공병원이 현실화될 수 있도록 의회 차원에서 예산, 제도, 절차 전반에 걸쳐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한편, 이날 중간보고회에서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역 기초현황 분석, 병상수요 추정, 주민 설문조사 결과 등을 보고했다.
경기도는 내년 2월 최종보고서를 확정, 보건복지부와 예비타당성조사 협의에 착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