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군, 올해 첫 모내기… 신품종 ‘강들미’로 벼농사 본격 시작

조생종 품종으로 첫 모내기… 8월 하순 수확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강화군, 올해 첫 모내기… 신품종 ‘강들미’로 벼농사 본격 시작



[PEDIEN] 강화군이 2일 교동면에서 올해 첫 모내기를 진행하고 한해 벼농사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이날 첫 모내기 한 품종은 강들미, 여르미 등 조생종 품종으로 8월 하순에 수확할 예정이다.

올해 강화군의 벼 재배면적은 약 9,500ha이며 생산량은 4만 5천 톤가량으로 예상된다.

강화군 지역에서는 주로 10월 이후에 수확하는 중생종과 중만생종이 재배되고 있으나, 추석 이전 이른 수확을 위해 조생종의 재배 또한 늘고 있다.

수확시기 분산을 통해 노동력의 효율을 높이고 농작업의 편의성이 좋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강화군은 지난 2019년부터 외래품종을 대체하기 위해 강화 지역에 적합한 품종 연구를 시작해 성과를 거둬 주목받고 있다.

농촌진흥청과 함께 수요자 참여형 벼 품종 개발사업을 진행해 ‘강들미’ 와 ‘나들미’를 육성하고 보급하는 데에 성공했다.

‘강들미’는 2025년 4월 품종보호 출원된 품종으로 벼가 쓰러지는 도복 현상에 강하고 수확 전 알곡에서 싹이 트는 수발아 현상에도 강해 재배 안정성이 높다.

또한 쌀 외관이 좋고 밥맛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나들미’는 2023년 6월 품종보호 등록된 벼 품종으로 도열병, 흰잎마름병 등 병해 저항성이 강한 특성을 가지며 밥맛과 완전미 도정수율이 우수하다.

박용철 강화군수는 “새롭게 품종 개발한 강들미와 나들미는 기후변화에 강할 뿐 아니라 밥맛이 아주 뛰어나고 쌀의 외관 또한 좋아 많은 분들이 맛보셨으면 한다”며 “강화섬쌀 명품 브랜드 육성을 위해 신품종을 빠르게 확대 보급하고 다방면으로 농가경영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기후변화에 따른 농작물 재해에 대한 주의 사항으로는 △각 지역 토양을 고려해 표준 비료량을 준수하고 △이삭거름을 지나치게 많이 주지 않으며 △벼 이삭 여무는 시기 고온을 피하기 위해 모내기 시기를 10~15일 정도 늦추는 것이 효과적이고 △수확시기에 비 예보가 잦아질 경우 비 오는 날을 피해 조금 일찍 수확해 수발아 피해를 피하는 것이 좋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