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용인소방서는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 금속제조업, 목재가구 제조업, 폐기물 관련업 등 분진시설이 설치된 고위험 사업장을 대상으로 화재예방 활동을 집중 추진했다고 16일 밝혔다.
소방서는 화재안전조사와 현장지도를 실시하고 이주노동자가 근무하거나 소방시설이 부족한 소규모 공장은 ‘소방안전 혁신사업장’ 으로 지정해 소방시설과 안전물품을 보급했다.
또 관계자 대상 안전교육을 통해 현장 안전의식을 높였다.
분진폭발은 금속가루, 플라스틱, 목분 등 미세한 가연성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다가 불씨에 노출되면서 순간적으로 폭발하는 현상으로 경우에 따라 연쇄 폭발로 이어져 대규모 피해로 확산될 수 있다.
특히 용접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티가 집진시설 내부로 유입될 경우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화재예방을 위해서는 작업장에서 불티 등 점화원이 집진설비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관리하고 퇴적된 분진을 주기적으로 청소해 자연발화를 차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필터를 정기적으로 교체해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고 덕트에는 차단밸브를 설치해 화재 발생 시 불길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
집진시설 내부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점검구를 열어 산소가 급격히 유입되는 상황을 피하고 불활성 가스를 투입해 안전하게 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길영관 용인소방서장은 “분진폭발은 작은 부주의가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예방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사업장 관계자들께서는 평소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주시고 용인소방서도 시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현장 중심의 예방 활동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