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경기도가 전 세계적인 '케이팝데몬헌터스(케데헌)' 열풍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오석규 의원은 7일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의 안일한 대처를 강하게 비판하며 문화 정책 쇄신을 촉구했다.
'케데헌'은 K-컬처의 새로운 동력으로 평가받으며 막대한 문화적 파급력을 일으키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케데헌' 열풍에 힘입어 관람객 500만 명을 돌파하고 관련 굿즈가 품절되는 등 큰 성공을 거뒀다.
하지만 경기도는 이러한 세계적인 트렌드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오 의원의 지적이다. 민간 기업인 에버랜드는 발 빠르게 '케데헌' 테마관을 개관하여 관람객을 끌어모으고, 한국민속촌 역시 관련 체험 프로그램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오 의원에 따르면 경기도가 운영하는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는 '케데헌' 관련 굿즈나 특별 전시를 찾아볼 수 없다. 리움미술관의 '까치호랑이 호작' 특별전과 비교해도 경기도의 소극적인 태도가 더욱 두드러진다.
오 의원은 경기도가 DMZ, 수원 화성, 한국민속촌, 백남준 아트센터 등 '케데헌' 콘텐츠와 연계할 수 있는 훌륭한 문화 자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제적인 기획에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오 의원은 국립중앙박물관의 굿즈 성공은 단순한 운이 아니라 오랜 투자와 발 빠른 기획의 결과라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도가 민간 기업의 성공에 편승하는 것이 아니라, 주도적으로 경기도만의 특색 있는 굿즈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오 의원은 갓이나 까치호랑이가 서울만의 전유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기획력 부족으로 선점 기회를 놓치고 있다고 비판하며,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민간 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등 선제적인 노력과 조직 역량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오 의원은 경기문화재단의 한정된 사업비와 인력으로는 경기도 굿즈를 기획, 제작, 판매, 홍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며,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 차원에서 굿즈 개발 사업을 지원하고 별도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