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과 고령자의 정보접근성 개선을 위한 ‘지능정보화 기본법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국제 표준 개정에 따른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 세부기준 등 개선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PEDIEN]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장애인과 고령자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정보접근성을 높이고 이용 편의를 증진하기 위한 ‘지능정보화 기본법 시행규칙’개정안을 마련하고 이해관계자 등 국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6월 10일부터 7월 22일까지 입법예고 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의 세부 기준을 개선하는 내용으로 장애인, 고령자 등이 신체적 또는 인지적 제약에 의한 불편함 없이 웹 사이트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기술 발전에 발맞춰 웹 사이트 접근성 품질인증 시 고려해야 할 심사 항목을 기존 22개 항목에서 33개 항목으로 확대했는데, 사용자 입력 창을 크게 구현하도록 해 손떨림이 있는 사용자도 웹 페이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고 다양한 인증 방법을 제공하도록 해 기억, 읽기 등의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도 패턴이나 지문 등으로 로그인과 같은 인증 과정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웹사이트 접근성 품질인증 발급을 위해 지불하는 수수료 산정의 세부 기준을 시행규칙에 규정해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인증 업무의 법적 안정성 및 투명성을 제고하고자 했다.

과기정통부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번 개정안은 새롭게 개정된 국제 및 국가 표준에 맞춰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 기준을 개선하는 것으로 앞으로도 폭넓은 디지털 포용정책을 통해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디지털 기술을 국민 모두가 누릴 수 있도록하는 한편 장애인과 고령자가 소외되지 않도록 세심히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개정안 전문은 과기정통부 누리집 또는 국민참여입법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의견이 있는 기관, 단체 또는 개인은 7월 22일까지 의견을 제출할 수 있고 이후 법제심사 등을 거쳐 확정되면 9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정치일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