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디지털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국제 기준을 준용해 ’22년 디지털산업 현황 조사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PEDIEN]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과 함께 2022년 우리나라 디지털산업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2023 디지털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디지털산업 실태조사는 OECD에서 제시한 디지털산업의 정의 OECD, A roadmap toward a common framework for measuring the digital economy.와 디지털공급사용표 분류 OECD, Guidelines for Supply-Use tables for the Digital Economy, Working Party on National Accounts.를 준용해 기존에 조사해 왔던 ICT산업뿐만 아니라 최근 확산되고 있는 디지털 플랫폼 제공·활용 산업과 디지털 관련 산업까지 조사 범위를 넓혔다.

이는 디지털 경제의 진전에 따라 산업 전반에서 디지털 활용이 확산되면서 디지털산업의 현황과 산업 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고 분석할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른 것이다.

디지털산업 실태조사에서는 디지털산업을 디지털 기반 산업, 디지털 플랫폼 제공 산업, 디지털 플랫폼 활용 산업, 디지털 관련 산업의 4가지 분류로 구분해 조사했다.

[참고1] 주요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22년 디지털산업의 매출액은 1,142조 원 규모로 전체 산업 매출액 8,772조 원의 13%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 제조업 매출액의 절반 정도 규모이다.

한편 기존 ICT산업 조사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인터넷 쇼핑몰·은행·그 외 디지털 관련 산업 등을 포괄하는 디지털 관련 산업 부문의 규모가 휴대단말기·반도체 등 디지털 기반 기기·부품과 통신·방송 등 디지털 기반 서비스로 구성된 디지털 기반 산업 부문 보다 다소 규모는 작지만 디지털산업 전체의 약 3분의 1 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특징을 보면 디지털 플랫폼 제공 업체의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유형은 웹서치 포털, 전자상거래 기반 플랫폼, 커뮤니티, 모바일 앱마켓 순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플랫폼 활용 업체를 대상으로 플랫폼 활용 시작 시점을 조사한 결과 ’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코로나19 시기에 활용이 급격히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디지털산업에서 인터넷, 모바일을 통해 상품을 주문받는 디지털 주문 매출액 비율은 58.4%로서 디지털 주문의 매출액이 비디지털 주문 매출액의 1.4배 규모로 집계됐다.

특히 도소매·음식·숙박업 등이 포함된 디지털 플랫폼 활용 산업의 경우 디지털 주문은 66.4%를 차지했다.

디지털 기술 개발·도입 현황 조사에서는 디지털산업 사업체들이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많이 개발·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디지털화는 제품의 생산부터 판매까지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는 디지털 주문의 일상화와 같이 이미 국민 생활에 스며들어 있다”며 “이번 조사는 국제 기준인 OECD의 정의와 분류를 준용해 기존의 ICT산업 조사에서 디지털산업으로 범위를 확장한 최초의 조사 결과로서 향후에도 디지털산업과 관련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치일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