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진구, 올해도 일자리 6천개 만든다.

전년 대비 4% 증액한 557억원 투입해 공공일자리 창출에 박차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광진구, 올해도 일자리 6천개 만든다.



[PEDIEN] 광진구가 ‘2025년 광진구 일자리대책’을 수립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힘쓴다.

구는 지난해 6318개의 공공일자리 창출, 당초 목표 6000개 대비 105%를 달성했다.

올해도 △일자리 인프라 구축을 통한 고용기회 확대 △공공일자리 창출·안심 일자리 환경 조성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 및 직무역량 강화 △청년 소통을 통한 청년인재 양성 △지역산업 자생력 강화를 통한 지역고용 활성화 5대 핵심전략에 30개 세부과제, 총 64개의 사업을 추진한다.

전년 대비 4% 증액한 557억원을 투입,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박차를 가한다.

먼저, 미래먹거리 창출과 신성장동력 확보에 주력한다.

‘2040 광진 재창조 플랜’을 토대로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창출 인프라를 만든다.

자양1재정비촉진구역 개발로 구의역 일대에 대규모 복합단지가 곧 입주하면서 지역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한다.

광진구청 통합청사, 첨단업무단지, 호텔·오피스텔이 들어서며 상업시설에 약 6천 명이 상근할 것으로 예상한다.

계층별 맞춤형 일자리를 지원한다.

예비청년창업가를 위한 창업공간인 청년이룸터 운영, 휴식과 취미활동을 공유하는 청년복지관 조성, 역량강화를 위한 청년 문화생활바우처 사업이 눈에 띈다.

어르신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새로운 일자리정책도 선보인다.

광진숲나루 공원안에 카페를 만들고 시니어바리스타를 채용, 어르신의 사회참여를 돕는다.

광진구청 신청사 1층 로비에 장애인 카페를 신설해 장애인 일자리를 창출하고 발달장애인에게 세차소독 교육을 실시, 장애인의 취업, 자립을 지원한다.

김경호 광진구청장은 “경기침체로 많은 구민들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안다 민생경제을 안정화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일자리대책을 마련했다 특히 올해는 대기업 유치, 맞춤형 일자리 정책으로 지역내 일자리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 라며 “앞으로도 구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