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서울 중구가 공백없는 돌봄을 위한 사회안전망을 한층 더 강화한다.
구는 올해 ‘돌봄SOS 서비스’ 제공기관 2곳과 신규 협약을 체결하고 기존 제공기관 6곳과도 재협약을 추진하며 총 14개 기관과의 돌봄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돌봄SOS 서비스’는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사고 또는 돌봄 공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진 주민들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일시재가 △동행지원 △식사배달 △단기시설 이용 △주거편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 신규 협약한 기관은 △스마일재가노인복지센터 △뉴던주식회사 등 2곳이다.
또한 △복지플러스 재가노인복지센터 △소망재가노인복지센터 △포시즌 재가복지센터 △비지팅엔젤스 서울중구방문요양지점 △안토 재가복지센터 △봄날 재가복지센터 등 6개 기관과 재협약을 완료했다.
여기에 기존 6개 기관도 서비스 제공을 이어가며 올해 총 14개 기관이 돌봄SOS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정복지사랑보살핌 △새생명재가노인복지센터 △중구행복돌봄센터 △중구스마트집수리협동조합 △요리를통한도시재생 사회적협동조합 △홍릉단기보호센터구는 협약에 앞서 현장 실사와 체계적인 평가를 통해 서비스 수행 역량을 면밀히 검증했다.
신규 기관은 ‘기본 수행능력’은 물론 ‘인력 운영’, ‘안전관리’, ‘품질 관리’, ‘사업 협업’ 등 5개 영역에 걸쳐 심사를 진행했고 기존 기관은 돌봄매니저 설문 등을 추가해 성과 및 운영 역량에 대한 평가를 거쳤다.
이와 함께 구는 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병원과의 연계 체계도 구축했다.
신당동 ‘참바로병원’과 다산동 ‘반도정형외과’ 와 협력해 퇴원 전 병원에서 바로 돌봄서비스를 의뢰할 수 있도록 한 것. 이를 통해 퇴원 후 돌봄 공백 없이 서비스가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했다.
지난해 중구에서 돌봄SOS 서비스를 이용한 대상자는 총 797명, 누적 지원 건수는 1,624건에 달했다.
기존에는 만50세 이상의 중장년 또는 장애인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으나 올해부터는 ‘돌봄이 필요한 누구나’ 신청할 수 있도록 대상 범위가 대폭 확대됐다.
서비스 신청은 거주지 동 주민센터나 다산콜센터를 통해 가능하다.
구 관계자는 “돌봄은 더 이상 개인이나 가족만의 책임이 아닌, 지역사회가 함께 짊어져야 할 과제”며 “위기 속에서도 주민들이 일상을 지킬 수 있도록, 돌봄SOS 제공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촘촘한 복지 안전망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