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 반도체 산업단지 미래 전력수요와 RE100 대응을 위한 대응책 마련해야”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용인특례시청사전경(사진=용인특례시)



[PEDIEN] 용인시정연구원은 16일 발간한 ‘RE100 대응을 위한 반도체 도시 용인의 지속가능 에너지 전략’을 통해 용인특례시가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미래 전력수요와 RE100 대응이라는 이중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방안을 제안했다.

RE100은 2050년까지 전력 사용량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는 목표의 글로벌 캠페인으로 다수의 국내 대기업을 포함한 전 세계 446개 기업이 동참하고 있다.

우리나라 중앙정부는 ‘K-RE100’ 제도를 도입·추진 중이며 경기도는 ‘경기RE100’을 통해 2030년까지 공공·기업·도민·산업 부문 전력 소비의 3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이다.

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용인시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2,527천toe로 경기도 31개 시·군 중 3위에 달하지만,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92,120MWh에 불과해 에너지 자립률이 0.31%에 그쳤다.

특히 2050년 즈음 완공 예정인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연간 최대 10GW의 전력을 소비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경기도 전체 전력 소비량의 약 62.5%에 이르는 수준으로 심각한 전력 위기 상황임을 지적하고 있다.

저자 박상현 박사는 “현재 용인시는 반도체 산업단지 조성과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이중 과제에 직면해 있다”며 “분산형 에너지 자립 체계 구축과 시민·기업의 적극적 참여를 통해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이루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 방안으로 △산업단지 중심의 분산형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구축, △시민 참여 기반의 지역순환형 RE100 생태계 구축, △공공-민간 연계 전력중개 플랫폼 및 PPA 활성화를 제시했다.

자세한 내용은 용인시정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