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N수생 증가세

김문수 의원 “N수생 증가를 어떻게 봐야 하는지부터 교육당국 설명 있어야”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서울대 N수생 증가세



[PEDIEN] 서울대 신입생에서 “재학생이 점차 감소하고 재수생 이상이 증가하는 경향”이다.

서울대학교가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에게 제공한 ‘신입생의 N수생 현황’ 으로 산출하면, N수생은 2019학년도 19.5%에서 2025학년도 26.3%로 증가 추세다.

삼수 이상은 4.8%에서 8.8%로 역시 늘었다.

서울대는 “N수생 변화 추이를 볼 때, 재학생이 점차 감소하고 재수생 이상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2023학년도 이후 N수생은 더 늘었다.

2020학년도 20.3% 등 다섯 명 중 한 명이었는데, 2023학년도 26.2% 등 신입생 네 명 중 한 명으로 더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정시 확대 시기와 겹친다.

수시모집과 정시모집은 양상이 다르다.

수시모집에서는 재학생이 증가하고 N수생이 감소하는 추세다.

재학생은 2025학년도 92.0%, 7년 평균 90.8% 등 대부분이다.

정시모집에서는 N수생이 절반을 넘고 재학생보다 많다.

2025학년도 N수생은 57.3%이고 재학생은 40.3%다.

삼수 이상은 2019학년도 15.3%에서 꾸준히 늘어 2025학년도 20.4%로 정시 다섯 명 중 한 명이 됐다.

전남 순천·광양·곡성·구례 김문수 의원은 “서울대도 N수생 증가가 확연하다”며 “학생 개인에게는 여러 번 도전한다는 의미가 있지만, 사회적으로는 재수의 비용이나 임금격차, 의대열풍, 학벌사회 등 여러 측면을 생각하게 만든다”며 “N수생 증가를 어떻게 봐야 하는지부터 교육당국의 설명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는 재학생 감소 및 N수생 증가세에 대해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재학생 수 자체가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시 선발 비율 확대 및 의약학 계열 선발제도 변화 등의 대입과 관련한 제도 변화 및 사회적 요구 등 여러 가지 요소가 다양하게 작용한 결과로 N수생 변화 추이에 대한 해석은 관점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