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광주시교육청이 학생들의 창의적 재능을 발굴하고 미래 K-문화 리더로 육성하기 위해 문화예술 교육 기반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기존 예술 전용 공간을 확대하는 한편, 학생 주도형 오디션과 버스킹 등 참여 프로그램을 다각화하며 교육 투자를 늘리는 모습이다.
시교육청은 학생들이 자유롭게 예술적 상상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전용 공간인 '광주학생예술누리터'를 확대 운영한다. 2021년 중앙초등학교에 1관을 개소한 데 이어, 올해 9월 서구 학생교육문화회관에 중·고등학생 중심의 2관을 추가로 열었다.
이들 누리터에서는 학교 및 지역 연계 예술교육 체험, 방과 후 진로 멘토링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1관이 초등학생 중심이라면 2관은 중·고등학생을 위한 공간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중앙도서관과 동구 미로 센터에는 학생들이 치유와 건전한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야호ZONE'이 조성됐다. 지난 7월 운영을 시작한 학생교육문화회관 내 '항로1216' 역시 독서, 진로 탐색은 물론 창작 활동까지 지원하는 복합 공간으로 활용된다.
공간 확충과 더불어 학생들의 끼와 재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프로그램도 활발히 진행된다. 특히 2023년 시작된 학생 주도 오디션 프로그램 '탈페(광주학생탈렌트페스티벌)'는 청소년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탈페는 공교육이 마련한 무대를 발판 삼아 우수팀에게 '학생 글로벌 리더 세계 한 바퀴 문화예술 탐방' 기회를 제공하며 큰 관심을 모았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10여 개 팀이 참가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으며, 시교육청은 매년 두 차례 예선을 거쳐 본선 진출팀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2023년부터 시작된 학생 야외 버스킹은 음악, 춤, 태권도 등 다양한 분야의 꿈나무들이 시민들 앞에서 자신의 무대를 선보이는 장으로 자리 잡았다. 시행 첫해 38개 팀에서 올해 56개 팀으로 참가 규모가 크게 늘어나며 학생들의 도전이 이어지고 있다.
시교육청은 학생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문화예술 교육 기반이 조성되도록 관련 공간과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노후 학교를 리모델링하고 유휴시설을 복합예술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정선 교육감은 “문화예술 교육 투자는 학생들의 재능과 끼를 키우고 나아가 ‘다양한 실력’을 육성하는 핵심”이라며 “광주 학생들이 세계 속에서 K-문화를 선도하는 리더로 성장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