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 학생 문화예술 전용 공간 대폭 확대… 'K-컬처 리더' 육성 시동

학생예술누리터 2관 개소, 오디션 '탈페' 등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재능 발산 기회 제공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광주광역시교육청전경(사진=광주광역시교육청)



[PEDIEN] 광주시교육청이 학생들의 창의적 재능을 키우고 미래 K-컬처를 이끌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문화예술 교육 기반을 대폭 확대하고 있다. 특히 학생 전용 예술 공간을 늘리는 한편, 청소년 주도형 참여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주목받는다.

시교육청은 지난 2021년 광주학생예술누리터 1관(중앙초) 개소에 이어, 올해 9월 서구 학생교육문화회관에 2관을 추가로 열었다. 이 공간은 학생들이 예술적 상상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마련된 전용 시설이다. 1관이 초등학생 중심의 체험 공간이라면, 2관은 중·고등학생을 위한 심화 교육 및 창작 활동 공간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누리터 외에도 학생들의 치유와 창조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도 확충됐다. 중앙도서관과 동구 미로 센터에 조성된 ‘야호ZONE’은 건전한 문화 향유를 돕는 공간이며, 학생교육문화회관 내 ‘항로1216’은 독서, 진로 탐색과 더불어 창작 활동까지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시교육청은 노후 학교 리모델링 및 유휴시설을 복합예술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공간 확대와 더불어 학생들의 끼를 발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학생 주도 오디션 프로그램인 ‘탈페(광주학생탈렌트페스티벌)’다. 2023년 시작된 탈페는 공교육이 마련한 무대를 통해 세계 문화예술 탐방 기회까지 제공하며 학생과 학부모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올해 역시 110여 개 팀이 참가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으며, 시교육청은 매년 두 차례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우수팀에게 ‘학생 글로벌 리더 세계 한 바퀴 문화예술 탐방’ 참여 기회를 부여한다. 또한 2023년부터 시작된 학생 야외 버스킹 역시 문화예술 꿈나무들의 도전 무대로 자리 잡았다. 시행 첫해 38개 팀이 참여했던 버스킹은 올해 56개 팀으로 참가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이정선 교육감은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투자가 학생들의 재능과 끼를 키우고 ‘다양한 실력’을 육성하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시교육청은 광주 학생들이 세계 속에서 K-문화를 선도하는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관련 공간과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정치일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