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확대에 석탄·LNG 발전 '몸살'…8년간 손실 789억

잦은 기동정지로 인한 설비 손상 및 비용 증가, 전력계통 안정성 우려 제기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김형동 의원님 사진 (국회 제공)



[PEDIEN]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늘면서 석탄 및 LNG 발전기의 잦은 정지와 그에 따른 손실이 커지고 있다.

전력거래소 자료에 따르면, 한전 산하 5개 발전사의 석탄 및 LNG 발전기 기동정지 횟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2016년 석탄발전기 426회, LNG 발전기 9,168회에 불과했던 기동정지 횟수는 2024년 각각 1,476회, 16,188회로 급증했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김형동 의원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으로 전력 수급 변동성이 커지면서 석탄과 LNG 발전기의 출력 조정이 잦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잦은 출력 조정은 설비 피로 누적과 고장, 발전 손실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발전기 정비 횟수도 늘고 있다. 2017년 석탄발전기 161회, LNG 발전기 1,215회였던 정비 횟수는 2024년 각각 243회, 1,891회로 증가했다.

최근 8년간 기동 실패, 비계획 정비, 불시 정지 사례는 총 509건, 누적 정지 시간은 4,440시간 32분(약 185일)으로 집계됐다. 이로 인한 손실 규모는 수리·교체 비용 557억 2,800만 원, 발전 손실 232억 3,200만 원 등 총 789억 6,000만 원에 달한다.

김 의원은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전력계통 안정성과 기존 발전 설비 운용 현실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잦은 기동정지로 인한 설비 손상과 비용 증가가 국민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효율성과 안정성을 함께 고려한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