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경기도의회 김철진 의원이 미래 성장 산업 분야 교육을 특성화고등학교까지 확대하고, 고교 학점제와 연계하는 체계적인 교육 모델 구축을 제안했다.
이는 2025년도 미래과학협력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종합감사에서 나온 발언으로, 공공기관이 추진하는 교육 사업이 직업계고와 특성화고에 제대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서 비롯됐다.
김 의원은 경기도교육청과의 협력을 통해 학점 인정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찾아가는 반도체 교실 사례를 통해 특성화고와의 촘촘한 협력 체계 구축과 학점 연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한국나노기술원에서 운영하는 나노·반도체 기초 과정이 단순 교육에 그치지 않고, 학생들이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 구조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테크노파크의 로봇직업교육센터 구축 사업과 관련해서는 안산이 직업교육 혁신지구로 선정된 점을 언급하며, 학교-지역기업-대학-교육청이 협력하는 선순환 교육 모델에 대한 기대를 표명했다.
센터 구축 이전 단계부터 특성화고와 함께 교육 모델을 설계해야 한다고 주문하며 실효성 있는 모델 구축을 강조했다.
이에 경기테크노파크와 미래성장산업국은 고교 학점제와 연계 가능한 부분을 검토하고, 특성화고 대상 교육 내용을 정비하겠다고 답변했다.
김 의원은 경기도교육청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경기도형 RISE DX의 새로운 모델을 신속하게 구축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하며 질의를 마무리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