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충식 도의원, 경기도 AI 사업 '속도 조절' 주문…"설익은 확장 금물"

예산 삭감 속 무리한 사업 확장 우려, 시스템 안정화 및 딥페이크 대응 예산 확보 촉구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윤충식 의원 설익은 확장은 금물 시스템 안정화와 딥페이크 대응 예산 확보 주문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윤충식 경기도의회 의원이 경기도가 추진 중인 AI 사업에 대해 '속도 조절'을 주문했다. 예산 삭감으로 인한 사업 부실화 우려를 제기하며, 무리한 확장보다는 시스템 안정화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21일 '2026년 AI국 예산안 업무보고'에서 경기도 자체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사업과 관련, AI국이 요청한 예산 53억 원 중 인프라 확충 예산 23억 원만 반영된 점을 지적했다. 핵심 예산이 절반 이상 삭감된 상황에서 사업을 추진할 경우 '반쪽짜리' 사업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윤 의원은 경기도가 내년부터 해당 AI 서비스를 도 본청을 넘어 공공기관과 시군으로 확대하려는 계획에 대해 신중한 접근을 당부했다. 현재 시범 운영 중인 시스템조차 튜닝과 버그 수정이 필요한 상황에서 성급한 확장은 오히려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더불어 윤 의원은 최근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딥페이크 범죄 대응과 관련한 예산이 미흡한 점에 대해서도 아쉬움을 드러냈다. 딥페이크 성범죄 예방 관련 조례가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예산 지원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윤 의원은 도민 안전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실효성 있는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예산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윤 의원은 육아 공무원 등을 위한 원격 근무 인프라 구축 사업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다만 보안 및 운영상의 문제점을 철저히 점검하여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의원은 "AI와 미래 과학 분야는 경기도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분야"라며 "도민의 안전과 행정 효율을 높이는 필수적인 사업들이 예산 부족으로 인해 차질을 빚지 않도록 의회 차원에서도 예산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