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형 의원, 경기도 교통 예산 '맹점' 지적…도민 체감도 높여야

1조 8천억 교통 예산, 서비스 질 개선 미흡…버스 민원 폭증, 교통약자 지원 부족 등 문제점 드러나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강태형의원 와상장애인 이동권 보장 강화 이끌어 개정조례 상임위 심사 통과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강태형 경기도의회 의원이 경기도 교통 예산의 비효율성을 강하게 비판하며 도민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개선을 촉구했다.

24일 열린 건설교통위원회에서 강 의원은 2026년 본예산 및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교통국 예산이 1조 8002억 원에 달하지만, 도민들이 느끼는 교통, 안전, 서비스 품질은 제자리걸음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도 누리집의 시내버스 민원 현황 분석 결과, 무정차, 불친절, 난폭운전 관련 민원이 증가하고 차량 관련 민원이 급증하는 등 서비스 질 저하가 수치로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강 의원은 안산시의 시내버스 민원이 228% 폭증한 사례를 언급하며 지역 기반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에 더해 경기패스나 공공관리제와 같이 예산 규모만 큰 사업보다 버스 품질, 노선, 안전 관리 등 도민들이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분야에 우선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광역버스 준공영제, 경기패스 등 대규모 재정 투입 사업에서 정산 지연, 이자 반납 등의 구조적 비효율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개선을 요구했다.

또한 31개 시·군의 이동지원센터 운영 지원 예산이 12개월이 아닌 9개월분만 편성된 점을 강하게 비판하며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예산 확보를 촉구했다.

병원이동이 불편한 와상장애인을 위한 사설구급차 이용료 지원 계획이 본예산에 반영되지 않은 점도 문제 삼으며 도민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관련 예산을 즉시 반영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김광덕 교통국장은 시내버스 민원 증가와 서비스 품질 저하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노선 조정, 운수업체 평가 강화 등을 통해 서비스 품질 중심의 관리체계로 전환하겠다고 답변했다.

강 의원은 교통 및 건설 현장이 도민의 일상과 직결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재정 규모 확대가 서비스 개선으로 이어지도록 정산 및 집행 체계 개편, 안전 관리 강화 등 경기도 교통 및 건설 행정의 구조적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