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홍순 경기도의원, AI 예산 편성의 문제점 지적하며 우선순위 재검토 촉구

고성능 컴퓨팅 지원 축소와 바우처 예산 집중, AI 인재 양성 예산 부족 등 문제점 부각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심홍순 경기도의원, “핵심 없는 AI 예산… 우선순위 재정비해야”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심홍순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이 2026년도 AI국 본예산 심의에서 핵심 사업 예산 축소를 지적하며 예산 편성의 우선순위 재정비 필요성을 제기했다.

심 의원은 특히 도내 AI 기업의 고성능 컴퓨팅 지원 사업 예산이 전액 미반영된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해당 사업은 2025년 100개 기업에 연산 자원을 지원하며 수요가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26년 예산에서 완전히 삭감되었다.

심 의원은 AI 기업 지원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컴퓨팅 인프라라며, 사업 추진 1년 만에 예산을 전면 중단한 것은 산업 생태계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심 의원은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업에 42억 원의 신규 예산이 편성된 점을 언급하며, AI 인재 양성 예산이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축소된 점을 문제 삼았다.

2026년부터 남부·북부 AI 캠퍼스를 동시에 운영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인프라 운영비 3억 원, 전문 교육비 6억 원으로는 두 캠퍼스의 안정적인 운영이 불투명하다는 지적이다.

심 의원은 예산 축소가 교육 품질과 프로그램 규모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며, AI 예산의 실질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한 재검토를 촉구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