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관악구가 지난 18일 서울대학교와 공동으로 응모한 ‘2026년 서울캠퍼스타운 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돼 ‘창업하기 좋은 도시’로 한 발짝 더 다가섰다.
구는 서울대학교와 협력해 캠퍼스타운 사업을 추진하며 지난 2020년 종합형 3기와 2024년 창업형 6기에 선정되며 약 110억원의 시비를 확보했다.
올해 세 번째 공모에 선정된 구는 2026년부터 최대 4년간 연 12억원의 사업비를 추가로 확보하게 된다.
관악구-서울대는 ‘First Mover, AI로 세상을 바꾸는 글로벌 딥테크 청년 창업 혁신의 중심’을 비전으로 지역과 대학이 상생하는 글로벌 창업 혁신 허브 구현을 주요 내용으로 담은 사업계획을 제시했다.
공모 선정은 서울시가 제시한 △인공지능 기반 창업 육성 △유망기업 성장 및 자립 지원 △서울형 RISE 연계 등 기준을 평가한 심사로 결정됐다.
구는 해당 사업비에 관악구 자체예산과 서울대 대응 자금을 더해 ‘캠퍼스타운 3.0’ 사업에 본격 돌입할 계획이다.
특히 관악S밸리와 연계한 △인공지능, 딥테크 창업 생태계 조성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대규모 창업지원 시설 확충 등을 통해 ‘완성형 창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서울캠퍼스타운 사업은 서울시와 대학, 자치구가 협력해 대학의 우수 자원을 바탕으로 한 청년 창업기업을 발굴, 청년 일자리 창출과 유망기업 육성을 도모한다.
또한 대학이 보유한 혁신 기술의 사업화를 통해 ‘대학 중심 창업 생태계’의 자생적 성장과 지역사회와의 상생에 힘쓴다.
구는 지난 2020년부터 낙성대동과 대학동 일대에 캠퍼스타운 거점 공간 4개소를 확보하고 운영해 왔다.
지난 5월 기준 캠퍼스타운에는 그간 총 316개 팀이 입주해 2,407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약 1,579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박준희 구청장은 “2018년부터 서울대와 함께 관악S밸리를 조성하고 청년 창업 지원에 힘쓴 결과, 캠퍼스타운 사업에 세 번째 선정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서울대의 우수한 인적, 물적자원을 기반으로 ‘글로벌 청년 창업 허브’로 도약해, 관악구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