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복지 격차 20년 만에 2배 육박... '사회복지교부세' 신설 촉구

지역별 복지 수준 최대 1.82배 차이 확인, 소병훈 의원 “복지는 국가 책임 기본권”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소병훈 의원 프로필 사진 (사진제공=국회)



[PEDIEN] 장애인 복지 사업이 지방정부 중심으로 이양된 지 20여 년이 지났지만, 지역 간 복지 격차가 오히려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제기됐다. 소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은 주소지에 따른 복지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중앙정부가 최소 서비스 기준과 재정지원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소 의원이 14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별 장애인 복지 수준의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의 ‘2024년 전국 시·도별 장애인복지 수준 비교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역 간 복지 격차가 2년 새 크게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 결과, 장애인 복지 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전으로 67.15점을 기록했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충북으로 36.90점에 그쳤다. 이는 약 1.82배의 격차로, 2022년 1.40배였던 격차가 더욱 벌어진 수치다.


복지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에서도 격차는 뚜렷했다. 교육 수준이 가장 높은 세종(78.41점)과 가장 낮은 경기(56.28점) 사이의 차이는 1.39배에 달하며, 이 역시 해마다 커지는 추세다. 소 의원은 이러한 불균형이 장애인의 삶의 질과 복지권 보장에서 명백한 차별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소 의원은 지역 간 복지 불균형을 해소하고 국가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복지교부세’ 신설을 제안했다. 이는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의 재정 격차를 보완해 전국 어디서나 일정 수준 이상의 장애인 복지 서비스를 보장하자는 취지다.


소 의원은 “복지 수준이 주소지에 따라 달라져서는 안 된다”며 장애인 복지는 국가가 책임져야 할 기본권임을 강조했다. 그는 교부세를 통해 재정을 지원하고 성과평가를 연계하면 지역 간 복지 불균형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