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대한민국 역사 연구를 책임지는 3대 기관이 여수·순천 10·19 사건(여순사건) 관련 연구를 지난 10년간 단 한 건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전남 순천(갑))은 15일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지적하며, 역사기관의 무관심이 여순사건에 대한 왜곡된 역사관을 확산시키는 배경이 됐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이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북아역사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들 3대 역사기관은 최근 10년간 여순사건 관련 학술연구나 보고서를 전혀 발간하지 않았다. 유일한 실적은 학술회의 발표 1건에 불과했다.
이처럼 국가 역사기관이 여순사건 연구에 손을 놓으면서, 사건의 역사적 의미를 훼손하는 시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에는 교육부 검인증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일부가 여순사건을 '반란'으로 표기해 큰 논란을 빚었다.
또한, 여순사건 진압을 '암세포 제거'에 비유하며 이승만 전 대통령을 미화한 내용의 서적이 초·중·고등학교 도서관에 비치되는 등 왜곡된 시각이 학교 현장에 침투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특히 지난 8월에는 동북아역사재단과 서울대가 공동 주최한 국제학술회의에서 여순사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이승만 전 대통령을 지나치게 미화했다는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이는 여순사건의 진상 규명과 희생자 명예 회복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된 상황에서 발생한 일이라 더욱 충격을 주었다.
김 의원은 "여순사건 특별법이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건을 왜곡하는 표현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3대 역사기관의 무관심이 극우 역사관이 학교 현장에서 확산되는 토대가 되었다고 진단하며, "역사기관들이 지금이라도 여순사건 연구에 적극적으로 나서 올바른 역사관 정립에 기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