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길 도의원, 경기도 복지 행정 '도민 외면' 맹비판

복지 예산 삭감 및 임금피크제 실효성 문제 제기, 김동연 지사에게 사과 요구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도민의 복지가 위태롭다 윤태길 의원 경기도 복지행정 정면 비판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윤태길 의원이 경기도 복지 행정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논란이 일고 있다.

윤 의원은 복지 예산 삭감과 임금피크제 운영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김동연 지사의 사과와 예산안 재검토를 촉구했다.

윤 의원은 11월 7일 경기도 복지국 행정사무감사에서 2026년도 복지국 예산안 중 노인복지관, 재가노인복지시설 등 주요 복지사업비 약 240억원이 삭감된 것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예산 삭감이 도민의 삶과 직결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시·군과의 충분한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된 점을 지적하며 행정의 기본을 무시한 처사라고 비난했다.

윤 의원은 복지 예산은 단순한 행정 편의를 위한 것이 아닌 도민 생존의 안전망임을 강조하며 김동연 지사가 직접 도민에게 사과하고 복지국은 예산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복지국 산하 공공기관의 임금피크제 운영 실태에 대해서도 날선 비판을 이어갔다.

윤 의원은 경기복지재단, 사회서비스원 등 주요 산하 공공기관의 임금피크제 실적이 저조한 점을 지적하며 청년 일자리 창출과 고용 연장이라는 당초 도입 취지와는 달리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꼬집었다.

그는 성과 없는 제도는 행정의 자기만족에 불과하며 복지 현장은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인력이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을 때 안정된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실효성 없는 제도는 중앙 정부의 지침이라 하더라도 개선을 건의하고 과감하게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복지 예산 삭감은 도민의 일상을 위협하고 비효율적인 인사 제도는 행정의 신뢰를 무너뜨린다고 경고했다.

윤 의원은 도의회가 도민의 대변자로서 복지 예산이 현장 중심으로 집행되고 일하는 사람이 존중받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감시할 것을 약속하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