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희 경기도의원, 취약계층 지원 예산 삭감에 강력 비판

결식아동 급식, 가족돌봄수당, 가정위탁아동 지원 축소 문제점 지적하며 예산 안정성 확보 촉구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김동희 의원 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취약계층 지원은 예산 조정 대상 아닌 생존권 보장사업 2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김동희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부위원장이 2026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취약계층 돌봄 안전망 사업 예산의 대폭 삭감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하며, 정책 안정성과 예산 편성의 정교한 검토를 촉구했다.

김 부위원장은 특히 결식아동 급식지원, 가족돌봄수당 지원, 가정위탁아동 지원 사업 예산 감액에 우려를 표하며, 취약계층 지원은 단순한 예산 조정 대상이 아닌 생존권 보장 사업임을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결식아동 급식지원 사업 예산이 전년 대비 123억 원 감액된 점을 지적하며, 높은 집행률을 유지해온 핵심 복지사업 예산이 삭감된 것은 정책적 정합성에 어긋난다고 비판했다.

그는 “결식아동 급식지원은 중단되어서는 안 될 필수사업임에도 예산이 대폭 삭감된 것은 매우 위험한 편성”이라며, 추경을 전제로 한 예산 편성 방식은 구조적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급식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 가정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지원 대상 감소를 예상하고 예산을 삭감하는 것은 결식 위험을 현실화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예산총계주의 원칙에 따른 안정적인 예산 확보를 촉구했다.

가족돌봄수당 지원사업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2025년 하반기부터 시군 참여가 감소하고 지원 기준이 변경되면서 지원 대상 축소 및 신청률 저하 등의 혼란이 발생한 점을 지적했다.

김 부위원장은 “지원 기준 변경 과정에서 도와 시군 간 충분한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이는 행정의 문제이며, 피해는 도민에게 돌아간다”고 강조했다.

일부 시군에서 사업 변경에 대한 홍보 부족으로 신청률이 급감한 사례를 언급하며, 향후 유사 상황이 반복되지 않도록 시군 협력 및 정보 전달 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가정위탁아동 지원 사업의 양육보조금, 학습활동지원비 등 주요 항목이 대폭 감액된 점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지원 대상 아동 수가 감소했다는 이유로 예산을 일괄 감액한 것은 복지정책의 목적을 오해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부위원장은 “대상자가 줄었다고 해서 아동 1인당 필요한 지원까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라며, 취약아동 돌봄과 가족 지원사업 예산 삭감은 도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도가 재정 압박 속에서도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돌봄 안전망을 지키기 위해 보다 정밀하고 책임 있는 예산 편성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