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취약계층 보호 대책’ 마련

노인·노숙인·쪽방주민 등 대상별 맞춤지원 강화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보건복지부(사진=PEDIEN)



[PEDIEN] 보건복지부는 5월 30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여름철 민생 및 생활안전 대책’에 따라, 여름철 취약계층 보호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할 예정이다.

첫째, 혹서기 위기가구 발굴과 지원을 적극 추진한다.

사회보장정보시스템으로 입수된 위기징후 빅데이터를 활용해 여름철에 폭염, 집중호우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주거취약가구, 체납·단전 등 혹서기 복지 위기가구를 집중 발굴한다.

또한, 입수 위기정보를 단전, 단수 등 기존 45종에 집합건물 관리비 체납 정보를 추가해 46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취약계층 대상 찾아가는 복지 상담을 실시하고 지역 기반의 복지자원 연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6월 말 본격 운영되는 ‘복지위기 알림 앱’을 통해 국민 누구나 본인과 이웃의 복지 위기 상황을 쉽게 알릴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현장 중심의 위기가구 발굴을 강화한다.

둘째, 취약계층 대상별 맞춤지원을 더욱 강화한다.

어르신에게 식사를 제공 중인 경로당의 식사 제공 일수를 주 3.4일에서 주 5일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양곡비, 부식비, 노인일자리를 활용한 급식 지원인력을 추가 지원한다.

폭염에 대비해 독거노인, 조손가구 등 어르신의 건강과 안전을 상시 보호한다.

폭염특보 발령 시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이용하고 계신 약 55만명의 어르신을 대상으로 일일 안전 확인을 실시한다.

또한, 응급안전안심서비스를 통해 집에 설치된 정보통신기술 기기를 활용해 응급상황을 감지해 신속한 대처를 지원한다.

어르신들께서 시원한 여름을 보내실 수 있도록 무더위쉼터로 지정된 경로당의 운영 시간을 기존 오후 6시에서 오후 9시까지로 연장하고 비회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자체에 권고할 계획이다.

결식 우려가 있는 아동에게 여름방학 중에도 차질 없이 급식을 지원한다.

지역별 여건과 아동의 상황을 고려해, 단체급식·일반음식점·도시락배달·급식카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노숙인·쪽방주민 보호를 위해 중앙·지자체·관계기관 간 공동대응반을 운영해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한다.

무더위쉼터·응급잠자리·냉방용품을 지원하고 주·야간 순찰을 확대해 현장 대응도 강화한다.

셋째, 냉방비 별도 지원과 안전관리를 실시한다.

폭염기간 동안 전국 경로당과 미등록 경로당에 월 17.5만원, 사회복지시설에는 규모별로 월 10만~50만원의 냉방비를 지원한다.

여름철 자연재해 대비 사회복지시설과 의료기관 대상으로 시설안전과 재난대비 상황을 집중 점검한다.

조규홍 장관은 “보건복지부는 폭염에 대비해 취약계층에 대한 촘촘한 보호 대책을 시행하고 풍수해·태풍 등 여름철 재난에 대비해 빈틈없는 시설 안전 점검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치일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