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교육청, ‘미래형 학생평가’ 어떻게 가능할까? 열린토론 개최

미래형 학생평가, 더는 미룰 수 없는 시대 과제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충남교육청, ‘미래형 학생평가’ 어떻게 가능할까? 열린토론 개최



[PEDIEN] 충남교육청 미래교육추진센터와 교육정책연구소가 공동 주관한 ‘미래형 학생평가 어떻게 가능할까?’라는 열린 토론회가 300석 대강당 좌석에 가득 찬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과 열기 속에 지난 4일 마무리 됐다.

치열한 입시경쟁으로 인한 엄청난 사교육 비용이 저출산 요인 중 하나로 꼽히는 우리 사회에서 ‘학생 평가와 대학 체제 혁신’을 주제로 열린 이번 토론회에 교직원, 학부모 등 교육공동체의 참여 열기는 높았다.

최근 학교 평가를 비롯한 수능을 서·논술형으로 바꾸자는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개최된 이번 토론회는 시기적 특성으로 인해 교육공동체의 시선을 더욱 끌었던 것으로 보인다.

1부 특강에서는 다큐멘터리 ‘교실이데아’의 연출가인 MBC 김신완 프로듀서가 나와서 “우리 사회의 성공 공식이 달라지고 있다”며 “기존 좋은 대학 → 공채를 통한 좋은 회사 취직 → 사회적 성공 공식이 실무 능력을 중시하는 수시 채용 증가로 바뀌면서 시험 성적 따로 실력 따로인 시대는 끝났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험 체제 변화와 대학의 새로운 인재 선발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2부 토론에서는 국제 바칼로레아 전문가인 이혜정 교육과혁신연구소장은 국내에서 시범 추진 중인 국제 바칼로레아의 평가시스템이 가진 의의와 도입 경과를 설명하고 국제 바칼로레아 교육이 귀족교육, 엘리트 교육이라는 비판에 대해 한국형 바칼로레아를 무상 공교육에 적극 도입하면 될 일이라고 반박했다.

아울러 혁신학교와 국제 바칼로레아가 상충하지 않는다며 국제 바칼로레아는 현재 교육체계 때문에 발생하는 혁신학교의 한계를 극복하는 혁신학교 개선판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 소장은 미래형 학생평가를 위해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채점관 양성 및 질 관리 체제 구축, 교사들의 수업 집중 구조 등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서울대 10개 만들기’의 저자 경희대학교 김종영 교수는 서울에 있는 명문대 중심 교육체계가 유지되는 한 교육혁신은 요원하다며 지역민들의 요구와 지역 정치인들의 정치력으로 전국에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이루자고 주장했다.

이병도 천안교육장은 수포자·국포자 증가 등 학력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서열화가 아닌 학생 성장을 지원하는 미래형 학생평가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 기존의 교육 시스템과의 충돌, 평가 기준 및 시스템 구축의 어려움 등 다양한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래형 평가를 현장에 안착하기 위해 교육 정보 기술을 활용한 교육과정 개편, 교사 연수, 평가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철 충남교육감은 “우리나라 공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인 시험과 대학 체제 개선을 함께 고민하고 토론한 경우를 전국적으로 찾아보기 어렵다”며 “대한민국의 평가 혁신과 교실 혁명 등 교육 패러다임 대전환에 충남교육청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정치일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