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오 위원장, 법정단체 활성화·청년 세대 연계 해법 제시

법정 민간단체 활성화와 성과평가 체계 정비 강조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임상오 위원장, 법정단체 활성화·청년 세대 연계 해법 제시



[PEDIEN]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임상오 위원장은 9월 10일 자치행정국을 대상으로 한 제386회 임시회 제2차 추경 예산안 심사에서 민간단체 지원 체계와 청사 접근성 문제 등 행정 전반에 대한 다각적인 질의를 진행했다.

이번 추경 질의는 예산의 실효성과 집행력 제고를 통해 도민의 권익을 보호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행정을 구현하기 위한 목적에서 진행됐다.

특히 법정 민간단체의 기능 강화, 세대 간 연계, 청사 이용자 편의성 확보, 도금고 선정위원회에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의원 참여 필요 등 정책 보완 필요성이 강조됐다.

임상오 위원장은 “도내 법정 민간단체들은 공공의 역할을 보완하며 지역사회에서 중요한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일부 단체는 활동이 저조하고 조직력 약화로 지속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된다”며 “도 차원의 일괄적 지원을 시·군 단위로 분산하고 청년 참여 확대를 위한 실질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임 위원장은 “법정 민간단체에 대한 도민 인식이 낮고 예산 주체인 도와의 소통 부족으로 현장에서 도의원조차 초대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며 “공정하고 투명한 성과 평가 체계를 정비하고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 및 공동체 연계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질의에서는 경기도청 청사 이용자 편의성 문제도 함께 제기됐다.

임 위원장은 “지하주차장 동선이 복잡하고 안내 표지판의 가독성이 떨어져 초행 방문객과 교통약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며 “이번 추경에서 관련 예산이 감액된 것은 아쉽다.

안내 체계의 디지털화와 접근성 강화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각으로 임 위원장은 도 금고 지정과 관련해 “금고 선정은 안행위 소관임에도 불구하고 금고선정위원회에 위원회 소속 의원이 참여하지 못하는 것은 문제”며 “안행위 위원이 선정 과정에 참여해 실제 사업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경기도의회는 향후 민간단체의 지속가능성 강화, 청사 접근성 향상, 제도 개선을 통해 도민의 행정 만족도를 제고하는 데 지속적으로 힘쓸 계획이다.

안전행정위원회 차원에서도 예산 편성과 집행 전반에 대해 면밀히 점검하고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행정 서비스를 실현해 나갈 방침이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