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 경영 전반 '빨간불'…상호금융 2년 연속 적자 전환

지역수협 경제사업 10년 이상 만성 적자…연체율 8.11% '위험 수위'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송옥주 국회의원 (사진제공=국회)



[PEDIEN]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송옥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수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협의 경영 전반에 걸쳐 심각한 재정 위기가 감지됐다.

특히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이 취임한 2023년 이후 지역수협의 상호금융 사업이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경제사업은 10년 이상 만성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등 경영 전반에 '빨간불'이 켜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수협의 경제사업은 만성적인 적자 구조를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2023년 1,412억 원, 2024년 1,287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올해 8월까지도 846억 원의 손실을 봤다.

그동안 흑자를 유지하며 지역수협의 적자를 보전해왔던 수협중앙회 경제사업마저 2024년부터 50억 원의 손실로 전환되는 등 사업 전반의 부진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수익뿐 아니라 매출액 자체도 동반 감소하는 추세다.

지역수협의 자산 건전성 악화는 상호금융 부문의 급격한 수익성 저하로 이어졌다. 2021년 2,226억 원, 2022년 2,535억 원의 이익을 냈던 상호금융은 2023년 841억 원으로 이익이 급감했고, 지난해에는 1,417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 8월 기준 471억 원의 손실을 추가로 기록하며 2년 연속 적자가 확실시되는 상황이다. 이는 지역 금융권의 위험 신호로 해석된다.

금융 건전성 지표인 연체율 역시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 수협의 전체 연체율은 2020년 말 2.44%에서 5년여 만에 세 배 이상 급등해 올해 8월 기준 전국 평균 8.11%를 기록했다.

특히 경북(11.45%), 부산(10.33%), 전북(9.99%) 등 10대 권역 중 절반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지방은행 연체율이 1%를 넘는 경우가 드물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심각한 수준이다.

부실 여신 비율을 나타내는 고정이해신비율이 금융당국 권고치인 3%를 초과하는 조합도 전체 89개 중 60개(67.4%)에 달했다. 일부 조합은 수치가 20% 전후까지 치솟은 상태다.

부실 자산은 가파르게 늘어 2020년 7,357억 원이던 고정이해신 총계는 올해 2조 8,836억 원으로 급증했으나, 부실채권 매각은 이에 미치지 못했다.

수협 측은 최근 급격한 기후 변화에 따른 어획량 감소와 소비 부진을 적자의 원인으로 꼽았다. 그러나 송 의원은 이러한 대외 여건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구조적 한계 개선에 소극적이었던 수협 경영진의 책임을 지적했다.

송 의원은 “어업인의 생계와 직결된 경제사업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고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중앙회 차원에서 지역 조합의 여신심사 및 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부실채권 매각처 다변화와 선제적인 대손충당금 적립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