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장애인 보조견 지원사업, 위기 속 전담기관 설립 논의 활발

김재훈 의원, 사업 중단에 따른 장애인 이동권 침해 우려… 경기도 차원 지원체계 구축 제안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김재훈 의원 장애인 보조견 지원사업 전담기관 설립 필요 강조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경기도의 장애인 보조견 지원사업이 중단 위기에 놓인 가운데, 경기도의회 김재훈 의원이 전담기관 설립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했다.

김 의원은 경기도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보조견을 보급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사업 중단으로 인해 장애인들의 이동권과 자립권이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해 훈련기관의 보조금 부정수급 적발로 사업이 멈춰선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경기도 차원의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경기도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전국 최다 보조견을 분양하며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2022년에는 전국 분양 실적의 75%를 차지할 정도였다. 하지만 현재 보조견 양성체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장애인들이 보조견을 지원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김 의원은 경기도가 직접 보조견 양성, 훈련, 보급, 사후관리를 총괄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장애인 보조견 지원센터' 설립을 제안했다. 민간기관에만 의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김 의원의 제안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기존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과 함께, 경기도 내 반려동물 복합시설인 '반려마루'와 같은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경기도의 장애인 보조견 지원사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