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희 의원, 오산 산업단지 화재 대응 상시 체계 구축 강조

반도체·2차전지 중심 산업 구조, 화재 시 대형 사고 위험 높아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이영희 의원 오산 산업단지 화재 대응 상시 체계로 전환해야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경기도의회 이영희 의원이 오산 산업단지의 화재 대응 체계 강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7일 행정사무감사에서 이 의원은 오산소방서를 대상으로 산업단지의 화재 및 폭발 사고 대응 시스템을 점검하며 이같이 밝혔다.

오산에는 가장, 세마 등 4개의 산업단지에 150여 개 업체가 입주해 있고, 1만 명 이상의 근로자가 근무하고 있다. 이들 업체의 주요 업종은 반도체와 2차 전지 등으로, 화재 발생 시 유독 가스 확산과 2차 폭발의 위험이 높다.

이 의원은 산업단지 화재가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며, 산업단지 특성에 맞는 전문화된 대응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과거 2020년 가장산업단지 로봇제조 공장 화재로 25억 원이 넘는 재산 피해가 발생한 사례도 언급했다.

이 의원은 산업단지별 위험도 분석과 화학물질 취급 현황 파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집중적으로 질의했다. 각 업체의 화학물질 보유 현황, 누출 및 폭발 위험도, 초기 진압 우선 지점 등 현장형 대응 데이터 정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산업단지 내 합동 소방 훈련과 자위소방대 교육이 연 2~3회 실시되는 것에 대해 실효성 문제를 제기했다. 이 의원은 훈련이 '행사'에 그치지 않도록 반복적이고 실전형 훈련을 통해 근로자들의 신속한 대피와 초기 조치, 소방대의 진입 동선 확보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이 의원은 오산 산업단지가 도심과 인접해 있어 화재 발생 시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강조하며, 반복적인 점검과 불시 훈련, 자율소방대 역량 강화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작동하는 안전 체계를 구축해 줄 것을 당부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