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형 의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행감서 AI·모빌리티 사업 '성과-보상' 연계 강조

싱크홀 탐지 국비 확보 '적극행정' 사례 평가, 연구자 처우 개선 필요성 제기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김태형 의원 AI 모빌리티 핵심사업 확인 우수 연구성과와 연구자 처우 함께 가야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김태형 의원이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서 AI, 모빌리티 등 핵심 사업에 대한 점검과 함께 연구자 처우 개선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싱크홀 탐지 방안이 행정안전부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국비로 진행되는 점을 '적극행정'의 모범 사례로 평가하며 감사를 표했다. 해당 사업은 김 의원이 2024년 행정사무감사에서 제안한 내용이다.

김 의원은 차융원이 추진 중인 양자기반 신기술 사업과 스캐닝 라이다 기술을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는 우수 성과로 평가했다. 하지만 연구자들에게 합당한 보상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기술 발명에 따른 보상 근거 마련을 촉구했다.

최근 연구직 이직률이 10%를 넘는 상황에 대해 김 의원은 연구자들이 연구에 집중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를 표했다. 성과에 걸맞은 합당한 처우가 보장될 때 연구자들이 온전히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출연기관의 구조적인 문제 해결을 제안했다.

또한 김 의원은 AI 기업 고성능 컴퓨팅 지원 사업의 일몰 가능성에 대해 심도 깊은 예산 심의를 예고했다. 미래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전문인력 양성사업 또한 핵심 사업으로 내실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AI 글로벌 프론티어 네트워크 공동연구 과제 선정 방식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이미 실증화된 기술보다는 혁신적이고 새로운 과제 발굴이 '프론티어' 사업의 취지에 부합한다고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