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현 의원, 경기도 공공기관 중복 지원 문제 지적… 사전 검증 시스템 도입 촉구

경기도의회 행감서 AI 교육 격차 드러나… 기관 간 정보 공유 및 전 직원 교육 필요성 강조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김철현 의원 도 산하 공공기관 사업 중복지원 사전 검증 절차 제도화 해야



[PEDIEN]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김철현 의원이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의 사업 중복 지원 문제점을 지적하고, 사전 검증 절차 제도화를 촉구했다.

지난 12일 경기테크노파크와 경기대진테크노파크를 대상으로 진행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김 의원은 기관 간 중복 지원 실태와 AI 활용 교육의 격차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하며 개선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경기테크노파크의 사업 지원 기업 명단을 분석한 결과, 동일 기업이 같은 해에 여러 사업에 중복 선정된 사례가 다수 발견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중복 지원이 행정 효율성을 저해하고 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에 김 의원은 경기도청처럼 공모사업이나 지원사업 선정 시 부서 간 중복 지원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는 절차를 도 산하 공공기관에도 의무적으로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사전 검증 시스템 구축을 통해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막고, 지원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김 의원은 기관별 AI 활용 교육 현황의 차이도 지적했다. 경기테크노파크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AI 교육을 시행하는 반면, 경기대진테크노파크는 일부 부서 직원만 참여하고 있어 조직 전체의 AI 역량 강화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AI국을 신설한 만큼, 도 산하 기관들이 AI 기반 업무 역량 교육 체계를 구축하여 경기도형 혁신기관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기관 간 사업 정보 공유를 강화하고, 중복 지원 방지 및 교육 체계 개선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