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주 의원, 경기도 교통 정책 '현실 외면' 맹비난

예산 삭감부터 탁상행정까지…도민 외면하는 교통 정책에 '쓴소리'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이영주 의원, “농촌에 대형버스, 장애인 이동권 보장 예산은 삭감…”뒤집힌 교통정책 지적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경기도의회 이영주 의원이 경기도 교통 정책의 문제점을 정조준하며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2026년도 경기도 교통국 예산안 심의에서 드러난 허점을 지적하며, 도민을 위한 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 사업의 분담비율 조정 문제를 가장 먼저 거론했다. 도심에 혜택이 집중되는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하며, 신도시 쏠림 현상을 심화시키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분담비율을 70:30으로 재조정하여 교통 약자를 배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애인 이동권 관련 예산 삭감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이동지원센터 운영비와 이동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 예산 감액은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후퇴시키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교통 약자를 위한 예산 확보를 강조하며, 이동권 보장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농촌 지역에서 발생한 DRT 운영 실패 사례를 통해 경기도의 탁상행정을 꼬집었다. 현장 실태를 고려하지 않은 대형 전기버스 투입으로 인한 비효율성을 지적하며, 농촌 지역에 맞는 소형차 중심의 재설계를 요구했다. 중국산 버스 부품 수급 문제까지 거론하며 정책 실패를 강하게 비판했다.

미래 교통 기술에 대한 경기도의 안일한 대처도 비판의 도마 위에 올랐다. 자율주행 기술 도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해외 사례 연구에도 미흡한 예산을 책정한 점을 지적했다. 이 의원은 해외 벤치마킹을 위한 예산 확보와 TF 구성, 자율주행 도입 로드맵 마련을 촉구하며 경기도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이영주 의원은 "가장 약한 도민을 먼저 살피고, 미래 기술 변화에 대응하는 교통 행정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현실적인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