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명숙 의원이 경기도의 안전 관련 예산 삭감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도민 안전을 위한 예산 확보를 촉구했다. 박 의원은 특히 하천 유지관리, 제설, 어린이·노인 보호구역 사업 예산이 대폭 삭감된 점을 지적하며 예산 집행의 우선순위를 재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지방하천 유지관리비가 145억 원에서 130억 원으로 삭감된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집중호우 피해가 잦은 상황에서 하천 유지관리 예산 삭감은 현실과 동떨어진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새로운 하천 정비 사업보다 기존 시설 유지 및 위험 요인 제거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침수 피해 방지 인센티브 예산이 일몰된 것에 대해서도 아쉬움을 드러냈다. 재해 현장에서 고생하는 공무원들의 사기 진작과 재해 예방을 위한 인센티브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예산 재도입을 주장했다.
지방도 제설제 지원 예산 삭감, 도로 보수원 인건비 축소, 보도 설치 사업 예산 감액 등 안전 관련 예산 전반이 축소된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박 의원은 빙판길 사고 예방, 겨울철 제설, 도로 표지판 정비 등은 도민의 일상생활과 직결되는 필수적인 안전 조치라고 강조했다.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 사업 예산이 감소한 부분에 대해서는 노인 보호구역 사업으로 재원을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각 시군이 노인 보호구역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만큼 경기도가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홍보와 안내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일산대교 예산으로 인해 안전 예산이 부족해졌다는 점을 지적하며 예산 배정의 우선순위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용문면 다문리에서 추진된 생활권 보행환경 종합정비사업이 주민 간 협의 실패와 양평군의 소극적인 대처로 무산된 사례를 언급하며 공모사업 관리 시스템 강화를 촉구했다.
양평대교 착공 지연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하며 경기도와 양평군이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의 이러한 지적은 도민의 안전과 직결된 예산 문제에 대한 경기도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