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형 통합돌봄 본격화. 의료·요양·돌봄 연계로 사각지대 해소

찾아가는 방문 구강 건강관리 등 맞춤형 통합돌봄서비스 제공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금천형 통합돌봄 본격화. 의료·요양·돌봄 연계로 사각지대 해소



[PEDIEN] 금천구는 초고령사회와 돌봄 사각지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금천형 통합돌봄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맞춤형 돌봄 모델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구는 서울시가 주관하는 ‘2025년 통합돌봄지원센터 시범사업’ 공모에 선정돼 6,500만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의료·요양·돌봄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원스톱 통합돌봄 시스템’을 마련해 돌봄 대상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금천구는 전국 및 서울시 최초로 선도적인 돌봄 인프라를 조성해왔다.

3개 권역 건강장수센터, 홀몸어르신을 위한 공공원룸 ‘보린주택’, 맞춤형 복지 전문상담 ’통통복지콜센터 ‘ 등을 운영하며 지역 내 돌봄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공모 선정을 통해 기존 사업들을 더욱 확대하고 새로운 돌봄 서비스를 추가할 계획이다.

구는 돌봄 공백을 줄이고 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3개의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

치과 방문이 어려운 어르신을 위한 ’찾아가는 방문 구강 건강관리 ‘ 사업, 병원 퇴원 후 돌봄이 필요한 주민을 지원하는 ’퇴원환자 지역사회 연계‘ 사업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어르신이 자택에서도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연계’ 사업을 도입한다.

또한, ‘금천형 건강검진 지원’, ‘보린주택 입주자 공동체 프로그램’ 등 기존 사업도 확대 운영될 예정이다.

공공과 민간의 협력도 강화된다.

구는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통합지원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정기적인 통합돌봄회의를 통해 예방적 돌봄부터 고난도 돌봄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지역 병원, 복지기관, 방문요양센터 등과도 협력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금천구는 2025년 서울시 주관 자치구 특화 돌봄SOS서비스 공모에도 선정됐다.

총 8천만원의 예산을 확보해 ‘방문형 맞춤운동서비스’로 돌봄 위기가구에 있는 구민을 지원하고 있다.

유성훈 금천구청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금천구의 통합돌봄 인프라를 더욱 강화하고 서울시 전체로 확산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지역주민 누구나 살던 곳에서 건강하고 존엄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맞춤형 통합돌봄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