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5670억 규모 2차 추경 편성…총 예산 8조 6561억 원으로 확대

고물가·고금리 대응 민생 회복에 집중…AI 모빌리티, 호남고속도로 확장 예산 반영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광주광역시 남구청사전경 (사진제공=광주광역시)



[PEDIEN] 광주광역시가 고물가·고금리 등 복합 경제위기에 대응하고 시민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5670억 원 규모의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해 13일 시의회에 제출했다.

이번 추경으로 광주시의 총 예산 규모는 기존 8조891억 원 대비 7.0% 증가한 8조6561억 원으로 늘어났다. 시는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정부의 민생 안정 기조에 발맞춰 지역 경제 활력 제고에 중점을 두고 예산을 구성했다.

이번 추경은 민생회복 지원, 국정과제 이행 기반 마련, 자연재난 대응 등 세 가지 핵심 원칙을 중심으로 짜였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소비 촉진과 서민 가계 부담 완화를 위한 민생 회복 지원이다.

시는 지역 소비 활성화를 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3683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에 556억 원을 집중 투입했다. 또한,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39억 원), 어르신 스포츠시설 이용료 지원(5억9000만 원), 임신 사전 건강관리(1억8000만 원) 등을 반영해 사회적 약자 보호와 서민 생활 안정에 주력했다.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도 이어졌다. 광주시는 인공지능(AI)과 모빌리티 산업을 미래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기반 마련 예산을 반영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모빌리티 AX 실증랩 구축(10억 원),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사전기획연구(1억5000만 원), 피지컬 AI 기반 미래차산업 혁신클러스터 기획(4억 원) 등이 포함됐다.

이 사업들은 ‘AI 중심도시 광주’ 실현과 미래 산업 전환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 위기에 따른 자연재난 대응 예산도 선제적으로 편성됐다. 여름철 폭염 및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위해 호우피해 응급복구(10억 원), 재난대책비(204억 원), 폐기물 처리 재해복구(2억1000만 원) 등이 반영됐다. 전통시장 전기·가스설비 복구 지원 예산 700만 원도 포함됐다.

이와 함께 시민 편의 향상과 교통 복지 확대를 위해 호남고속도로 확장사업 예산 217억 원과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지원 예산 9억8000만 원도 함께 편성됐다.

이병철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추경은 민생회복에 초점을 맞춰 시민의 삶을 안정시키고 지역 경제 활력을 높이는 데 집중했다”며 “위기를 기회로 바꿔 도약할 수 있도록 예산으로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광주시는 이번 추경에 반영된 국고보조사업의 시비 매칭분에 대해 세출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지방재정법 개정에 따른 지방채 발행 등을 통해 재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세종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