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인천 지역 장애인 활동지원사 양성 교육기관이 인구 규모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 서비스 수요자인 장애인과 예비 활동지원사 모두 어려움을 겪는 '이중고'가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박판순 인천시의원(문화복지위원회)은 14일 열린 시의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교육기관 추가 지정을 강력히 촉구했다.
박 의원은 현재 인천의 활동지원사 교육기관 수가 타 시도에 비해 현저히 적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2025년 기준으로 전국 79개소가 지정되어 있지만, 인천보다 인구가 적은 대구와 울산조차 3개의 기관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 인프라 부족은 결국 서비스 수요자인 장애인들에게 직접적인 피해로 돌아오고 있다. 박 의원은 “인천 지역 장애인들이 10년 가까이 활동지원사를 쉽게 매칭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고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문제는 공급 측면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활동지원사로 취업을 희망하는 시민들 역시 교육을 받기 어렵다는 고충을 제기하고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는 활동지원사가 실질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시민들이 교육을 받기 위해 인천이 아닌 타 지역으로 원정 교육을 떠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어, 지역 내 교육 접근성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박 의원은 향후 행정 체제 개편(2026년 예정)을 앞두고 인구 수요가 달라질 것을 예측하며, 활동지원 교육기관 역시 지역적 수요와 접근성을 감안한 추가 지정 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단순히 기관 수를 늘리는 것을 넘어, 인천시는 교육기관에 대한 지도·감독 기능을 강화하는 동시에 경쟁을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양질의 교육 서비스 제공 기반을 마련하여 궁극적으로 장애인 복지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함이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