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친환경종합타운, 주민 참여형 복합시설로 전환 시급

여미전 의원, 장기 지연 문제 해결 위해 3가지 상생 방안 제시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여미전 의원



[PEDIEN] 세종시 친환경종합타운 건설이 수년째 난항을 겪는 가운데, 여미전 세종시의회 의원이 문제 해결을 위해 주민 주도형 복합시설로의 전환을 제안했다.

여 의원은 현재의 갈등을 멈추고 행정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3가지 해법을 제시하며 상생을 촉구했다.

세종시 친환경종합타운은 당초 2025년 사용을 목표로 전동면 송성리에 조성될 예정이었으나, 입지 선정 과정에서의 갈등과 주민 소송 등 절차적인 문제로 인해 아직 착공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여 의원은 세종시의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2013년 125.7톤에서 2024년 320톤으로 2.5배 이상 급증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기존 처리 시설의 포화로 인해 외부 위탁 처리 비용만 연간 100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행정력 낭비와 예산 부담은 물론 도시 경쟁력 저하로 이어진다는 것이 여 의원의 설명이다.

여 의원은 필수 기반 시설 건설 지연이 폐기물 처리 문제를 넘어 세종시 행정 전반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를 확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진단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덴마크 코펜힐 사례를 소개하며 주민 신뢰 회복을 위한 상생 행정으로의 전환을 강조했다.

여 의원이 제시한 3가지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 주도형 거버넌스 구축 및 투명성 확보, 둘째, 최고 수준 기술 도입 및 주민 편익 시설 복합화, 셋째, 안정적인 재원 확보 및 실질적인 주민 특별 지원 강화다.

여 의원은 친환경종합타운이 지속 가능한 성장과 깨끗한 도시 환경을 위한 핵심 기반 시설임을 강조하며,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시민의 신뢰와 소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여 의원은 앞으로 세종시의 모든 공공 사업이 시민의 신뢰와 참여를 최우선 가치로 두는 방향으로 추진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