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경기도 내 자율선택급식을 시행하는 학교가 늘어나는 가운데, 조리 인력 부족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김영희 경기도의회 의원은 경기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급격한 자율선택급식 확대에 비해 조리 인력 충원이 미흡하다고 지적하며 교육청의 안일한 대처를 비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자율선택급식 운영 학교는 2024년 250개교에서 2025년 527개교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조리 종사자 수는 변동 없이 유지되어, 현장에서는 업무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의원은 “메뉴가 늘어나는 만큼 노동 강도도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이치”라며, “인력 충원 없는 정책 확대는 노동력 착취와 다름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교육청은 자동화 기기 도입과 식기세척 사업 등을 통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8월 중순부터는 실태 분석을 위한 정책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김 의원은 교육청의 대책이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로봇 도입이 일부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식재료 손질과 같은 핵심적인 업무는 여전히 사람의 손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급식 정책이 조리 종사자를 소모품처럼 여기는 것은 문제”라며, “교육청은 즉각적인 인력 확충과 현장 중심의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자율선택급식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만족도뿐만 아니라, 조리 종사자들의 근무 환경 개선 또한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경기도교육청이 급식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