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기 의원, 기부채납 학교 관리 부실 지적…'현장 중심 감독' 촉구

2500억 규모 기부채납 학교, 관리 사각지대…부실 시공 우려 제기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김영기 의원 기부채납 학교 관리 사각지대 우려 현장 중심 점검 강화 촉구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김영기 경기도의회 의원이 경기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기부채납 방식으로 신·증설되는 학교 건축의 관리 허점을 지적하며, 현장 중심의 철저한 감독 체계 강화를 촉구했다.

김 의원은 2022년부터 2025년까지 56개 학교가 기부채납 방식으로 신·증설되었으며, 그 규모가 약 2,500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는 민간사업시행자가 직접 학교 건축을 발주하는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하며, 전문업체 선정과 계약 과정의 적정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기, 소방, 정보통신 등 전문 공사가 여전히 통합 발주되는 사례와 더불어, 일부 현장에서는 무자격 업체 시공 및 불법 하도급 제보까지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김 의원은 학생들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철저한 점검을 통해 부실 시공을 근절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기부채납 시설 역시 학생들이 사용하는 공간이며, 하자 발생 시 보수 비용은 결국 교육청 예산으로 충당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설계 단계부터 준공 및 인수까지 전 과정에 걸쳐 실질적인 점검이 가능한 관리 체계 정비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김영기 의원은 저연차 공무원 맞춤형 복지포인트 제도의 형평성 문제도 제기했다. 육아나 질병 휴직에는 예외를 인정하면서 군 복무자에게는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군 복무자들이 정당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중앙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제도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