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폐석회 매립장 활용 방안 모색…시민 공론화 필요성 강조

20년 된 낡은 협약 대신, 새로운 논의 틀 마련 촉구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인천시의회 폐석회 매립장 활용 방안 논의를 위한 토론회 마무리 (인천광역시의회 제공)



[PEDIEN] 인천광역시의회가 폐석회 매립장 활용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폐석회 매립장의 과거 조성 과정과 현재 상황을 점검하고, 미래 활용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공원 조성과 관련하여 도시계획, 환경, 행정, 시민사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토론회에서는 폐석회 매립지의 역사성과 환경적 특수성을 고려한 활용 방안, 지상권 및 협약 문제, 공원 조성 전략, 지역 연결성 강화, 안전관리 등 다양한 현안이 논의되었다.

㈜DCRE 개발사업실 김기한 부장은 폐석회 매립장의 조성 과정과 시설 현황을 설명하며, 매립시설 사용 종료 후에도 30년간 침출수 관리 의무가 지속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향후 공원 조성 논의 시 법적, 기술적 요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천시 공원조성과 관계자는 인근 공공시설과의 기능 중복을 피하고, 지역 체육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인천시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른 시설 설치 가능 범위와 건축법 기준 준수를 통한 안전성 확보를 강조하며, 사후관리는 공원 조성과 별개로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환경운동연합 심형진 대표는 폐석회 매립장이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공간임을 강조하며, 역사성과 환경성을 반영한 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능허대공원, 한진나루 등 주변 지역과의 연결성을 확보하고, 주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생태, 문화 공간 조성을 제안하며 공론화 과정을 촉구했다.

기후&생명정책연구원 장정구 대표는 현재의 협약이 시대에 맞지 않다며 새로운 협약과 공론화 틀 마련을 제안했다. 그는 지상권, 토지 소유, 운영 방식 등 복잡한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객관적이고 공정한 논의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대중 위원장은 20년 전 계획이 현재의 도시 여건과 시민 요구를 반영하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새로운 공론화, 협약, 조성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폐석회 매립지를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재설계하고, 지속적인 논의 구조를 마련할 것을 약속했다. 시의회는 이번 토론회를 시작으로 더 많은 시민과 단체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