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KAIST 우주 혁신연구센터 개소…민간 주도 우주산업 생태계 구축 시동

712억 투입, 무인 우주정거장·우주 제조 기술 개발…대전 우주산업 도약 기대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대전, 우주산업의 내일을 열다! KAIST 혁신연구센터 개소



[PEDIEN] 대전시가 KAIST와 손잡고 민간 주도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KAIST 우주서비스 및 제조 혁신연구센터(IRC)가 24일 KAIST에서 문을 열고, 향후 10년간 차세대 우주 개척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에 돌입한다.

이번 개소식에는 대전시, KAIST, 우주항공청, 한국연구재단, ㈜보령 등 우주 관련 기관, 대학, 기업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하여 대전 우주산업의 밝은 미래를 함께 축하했다.

혁신연구센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기초연구사업 공모 선정으로, 향후 10년간 총 712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여 운영된다.

센터는 무인 우주정거장 구축, 로봇 기반 우주 제조, 물자 회수 기술 등 차세대 우주 개척에 필수적인 핵심 기술 확보를 목표로 연구에 매진할 계획이다.

한재흥 센터장을 중심으로 14명의 KAIST 교수가 연구를 주도하며, 국내외 주요 우주 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특히 대전 지역 88개 우주기업과 긴밀히 협력하여 민간 주도 우주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힘을 보탤 예정이다.

대전시는 지역 우주기업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2026년부터 매년 4억 원씩, 총 36억 원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연구 성과의 산업화와 지역 산업 확산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한재흥 KAIST 우주연구원장은 “산·학·연·관 협력을 통해 우주 서비스·제조 핵심 기술을 선도하고 민간 중심의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우주 서비스 및 제조 분야는 미래 우주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핵심 영역”이라며, “KAIST는 혁신적 기술 개발과 글로벌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이 우주 산업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중심이 되도록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손철웅 대전시 미래전략산업실장은 “KAIST와 함께 혁신연구센터를 대전형 우주산업 혁신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겠다”며, “지역 기업 성장과 대전의 우주산업 중심도시 도약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개소식에 앞서 10월 23일부터 이틀간 KAIST 우주연구원 국제 심포지엄이 열려 차세대 우주기술 발전 방향과 국제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며 개소식의 의미를 더했다.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