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인천광역시의회가 농어촌과 도서 지역의 인구 감소 문제 해결을 위해 평생교육과 사회적경제를 결합한 청년 정착 모델을 제시했다.
시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인천 농어촌 청년정책 연구회'는 정책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옹진군을 중심으로 한 청년 인구 감소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했다.
연구회는 옹진군의 고령화 심화, 생활 인프라 부족 등 구조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청년 정착 전략을 마련하는 데 집중했다.
연구 과정에서 연구회는 간담회와 현장 방문을 통해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파악했다. 영흥면과 선재도 현장 방문에서는 도서 지역의 의료 및 문화 접근성 부족, 청년 창업 공간 운영의 어려움 등을 확인했다.
최종 보고회에서 연구진은 평생교육 기반의 생애설계 및 직업역량 강화, 지역 특산물과 관광 자원을 활용한 사회적경제형 일자리 모델 등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특히 도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인천형 청년정책 거버넌스 모델'과 '도서 지역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체계'를 제안하며, 기존 도시 중심 청년정책의 한계를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 책임자는 도서 지역 인구 감소의 원인이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한다고 분석하며, 평생학습과 사회적경제를 연계한 정책이 청년 정착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회 대표는 이번 연구 결과가 실질적인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시와 옹진군, 관련 부서와 지속적으로 협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인천시 청년정책 및 농어촌 정주 여건 개선 정책 수립, 관련 조례 검토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연구회는 앞으로도 농어촌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인천형 청년정책 모델을 발전시켜 지역 정착 기반 마련을 지속적으로 모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