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금융당국이 불법 공매도에 대해 엄중 처벌을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부과된 과징금 규모는 당초 산정액 대비 최대 80%까지 감경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금융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위법한 공매도 과징금 부과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외국계 투자은행들의 조직적인 불법 공매도 행위를 적발한 이후 특별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올해 9월까지 총 65개 금융사에 1,027억 원의 과징금이 부과됐다. 이 제재는 2023년 11월 공매도 전면 금지 이전에 발생한 위반 행위에 대한 사후 조치이며, 제재 대상의 약 80%는 외국계 금융회사였다.
부과된 과징금 규모는 Credit Suisse AG(169억 원), Barclays Capital Securities Ltd.(136억 원), Credit Suisse Singapore Ltd.(102억 원) 순으로 컸다. 그러나 문제는 이 금액이 당초 산정된 과징금보다 최대 80%까지 줄어든 규모라는 점이다.
금융당국이 감경 사유로 적용한 기준은 '고의성 부족', '규제에 대한 이해 부족', '제재 수용성 여부', '유사사례 선례 형평성' 등이었다. 특히 '규제에 대한 이해 부족'이나 '고의성 부족'을 이유로 대규모 감경을 허용한 것에 대해 전문가들의 비판이 쏟아졌다.
전문가들은 국가 간 제도나 규제의 차이를 이유로 감경을 허용하는 것은 금융회사가 내부통제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책임을 면제해주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오히려 내부통제 미흡에 대한 추가 제재의 근거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허 의원은 최근 대통령이 불법 공매도에 대해 최고 수준의 처벌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음에도 금융당국이 과징금 수위를 대폭 낮추면서 처벌의 실효성이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당국은 시장 교란 세력의 사정이 아닌, 불법 공매도로 피해를 입은 시장과 투자자의 관점에서 엄정하게 법을 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허 의원은 제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감경 기준을 객관화하고 처분 결과를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무엇보다 피해자 보호와 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방향으로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외국계 투자은행들의 조직적인 불법 공매도 행위를 적발한 이후 특별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올해 9월까지 총 65개 금융사에 1,027억 원의 과징금이 부과됐다. 이 제재는 2023년 11월 공매도 전면 금지 이전에 발생한 위반 행위에 대한 사후 조치이며, 제재 대상의 약 80%는 외국계 금융회사였다.
부과된 과징금 규모는 Credit Suisse AG(169억 원), Barclays Capital Securities Ltd.(136억 원), Credit Suisse Singapore Ltd.(102억 원) 순으로 컸다. 그러나 문제는 이 금액이 당초 산정된 과징금보다 최대 80%까지 줄어든 규모라는 점이다.
금융당국이 감경 사유로 적용한 기준은 '고의성 부족', '규제에 대한 이해 부족', '제재 수용성 여부', '유사사례 선례 형평성' 등이었다. 특히 '규제에 대한 이해 부족'이나 '고의성 부족'을 이유로 대규모 감경을 허용한 것에 대해 전문가들의 비판이 쏟아졌다.
전문가들은 국가 간 제도나 규제의 차이를 이유로 감경을 허용하는 것은 금융회사가 내부통제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책임을 면제해주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오히려 내부통제 미흡에 대한 추가 제재의 근거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허 의원은 최근 대통령이 불법 공매도에 대해 최고 수준의 처벌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음에도 금융당국이 과징금 수위를 대폭 낮추면서 처벌의 실효성이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당국은 시장 교란 세력의 사정이 아닌, 불법 공매도로 피해를 입은 시장과 투자자의 관점에서 엄정하게 법을 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허 의원은 제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감경 기준을 객관화하고 처분 결과를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무엇보다 피해자 보호와 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방향으로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